-
-
제5도살장
커트 보네거트 지음, 박웅희 옮김 / 아이필드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에 문학동네 판이 없어서 거의 고서 수준의 책을 빌려봤다. 제목만 봤을 때는 돼지나 소 같은 가축들이 떼로 등장할 것 같다. 그러나 예상 외로 이 작품의 제목은 작가가 만들어낸 빌리 필그림의 혼란스러운 정신 상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인생은 그렇게 가는 것, and so it goes
아마 이야기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구절이 ‘인생은 그렇게 가는 것(혹은 생명은 그렇게 가는 것)’이 아닐까 싶다. 많은 서평들에서 이 구절이야말로 커트 보네것의 어두운 풍의 유머를 잘 드러낸다고 말한다. 그 말에 나 역시 동의했다. 누군가 죽었다고 했을 때, 그 죽음에 대한 애도를 위해 덧붙이는 말들이 많은데 작가는 그 기법을 일부러 쓰지 않은 듯 하다. ‘위’ 아무개가 죽었다. 그래서? 언제가 되었든 사람은 다 죽어. 라고 독자들에게 아주 서늘하게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죽음에 있어 얼마나 많은 사람, 혹은 생물이 죽었는지는 의미가 없다. 죽었다는 그 자체가 중요할 뿐. 작가는 그 사실을 조명하기 위해 이 책을 쓰기로 결심한 게 아닐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그저 ‘쓰일 뿐인’ 빌리 필그림
그 외에도 인상적인 구절이 여럿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사진도 찍어놓은 부분이 하나 있었는데, 바로 이렇다.
“신이여, 내 힘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을 감수하는 체념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꿀 용기와 그리고 언제나 양자를 구별할 수 있는 지혜를 나에게 주소서.”
내 힘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은 빌리 필그림이 실제로 경험했던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끔찍한 사건일 것이다. 그는 실제 드레스덴 폭격 사건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사람, 즉 작가가 투영된 인물이었다. 그는 생존자로서 일본 히로시마 피격 사건에 묻혀버린 이 일을 알리는 일밖에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게 그가 얻어낸 용기이다.
역자의 서문을 읽으면서 이 이야기가 커트 보네것의 이전 작품들이 총망라된 것임을 새로 알았다. 세상에는 실제로 눈에 익고 많이 알려진 것과 알아야 하지만 여전히 구름에 가려진 듯한 것-이러한 양자가 존재한다. 두 양자를 구분할 수 있는 지혜를 얻는다는 것은 끊임없이 인간이 신에게 무릎 꿇고 구해야 할, 어쩌면 죽을 때까지 실현될 수 없는, 모든 독자들의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