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직장인은 대화법이 다르다 - 개인의 성공과 조직의 성과를 부르는 실전 대화코칭 45
이정숙 지음 / 더난출판사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대화는 직장에서만 아니라 가정에서나 사회생활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일 것 같다. 요즘은 서점에 가면 대화의 관련된 책들이 수도 없이 많다. 그 만큼 요즘 대화법이 부족하다는 뜻일까 아니면  대화에 독자들의 관심이 많아서 일까?


“성공하는 직장인은 대화법이 다르다”에서 저자 이정숙은 직장인을 기준으로 대화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어떻게 보면 가장 편한 관계도 맺을 수 있는 곳도 직장이며 상사와 부하들 간에 트러블 많이 생긴 곳도 직장이다. 직장 생활 하면서 불편하거나 억울한 일들이 많을 것이다. 저자 ‘이정숙’은 억울할 때마다 감정을 표현하거나 얼굴을 붉히는 것은 상사의 화만 돋울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억울할 때 입을 봉하고, 세월을 기다리는 사람이 진짜 승리하는 곳이 바로 직장이라고 말 하고 있다.

대화전문가 이정숙은 잘못할 일에 대해서는 죄송하다고, 다음부터는 조심하겠다고 사과를 꼭 해야 한다고 말 하고 있다. 반말하는 상사들이 있을수록 그 사람을 존중하고 잘 챙겨줘야 한다고 말을 하고 있다.

상사들도 부하들에게 칭찬을 아껴서는 안 된다고 말을 하고 있다. 나의 부하들이 어떻게 했으면 좋겠다하면 먼저 부하들에게 내가 그렇게 해주는 방법이 최고다. 상사들도 회의 시간이나 약속 시간 꼭 지켜야하고, 잘못했으면 부하들 앞에서 잘못을 인정해야한다. 아무리 부하라고 해도 상처 받는 말이나 기분 나빠하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고 저자가 말 하고 있다.

휴가 중에도 내 대신 일을 하는 사람이 잘 하고 있는지 확인 전화를 해야 하며 그 일을 이렇게 하라고 방법도 알려줘야 한다고 말 하고 있다. 사실 휴가 중에는 아무도 회사 일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싶지 않는다. 모든 것을 잊고 휴가를 보내야할 텐데, 회사 일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까지 신경 쓰려면 휴가를 즐기지 못한다.

직장에서 어떤 말을 할 때도 situation, method, audience 그리고 purpose를 잘 파악해아 한다고 말 하고 있다. 긴급하게 핵심만 요하는 상황인지 디테일을 요구하는 상황인지 농담이 통할 상황인지 진지하게 말해야 할 상황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듣는 사람들의 연령과 성별, 직업 그리고 나와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큰 소리를 해야 할지 작은 소리로 해야 할지 알아야한다. 말을 하는 목적을 잘 생각하고 해야만 사람들이 집중 할 수 있다고 저자 ‘이정숙’은 말을 하고 있다.

나도 직장 생활 한지 벌써 10년 가까이 되었다.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만이라도 8년! 처음에는 회사 상사들이랑 말다툼 한두 번이 아니었지만 있었다보니까 서로 정 들고, 지금은 누구 상사이고 누구 부하 없이 가족처럼 일을 하고 있다. 회사 직원들의 관계가 좋다고 해서 성공한 직장인이라고 말할 수도 없으며 책에 나온 대화의 법을 배워서 상사와의 관계가 좋아진다는 보장도 없다.

그때그때 상황 봐서 참고, 이해하고, 용서하고 또는 화도 내고 짜증도 내며 열심히 일하는 직장인만이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