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e happy -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소냐 류보머스키 지음, 오혜경 옮김 / 지식노마드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행복은 장마철이 끝나기를 기다리며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처럼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하는 행운이 아니다. 그것은 또 고속도로의 나들목이나 잃어버린 지갑처럼 직접 움직여서 찾아 나서야만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숨겨진 미로를 찾아서 헤맬 필요가 없으며 좋은 직장을 구하고 근사한 남자 친구를 사귀어야만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발견한 글이다.


우리는 매일매일 무엇을 위해 열심히 살고 있는가?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낳은 삶을 살기 위해 그리고 점점 업데이트된 삶이 성공이고, 성공하면 행복할 수 있는 것을 착각하기 때문이다.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책의 저자 ‘소냐 류보머스키’는 심리학교수다. 이 분이 진실한 행복이 무엇인가를 알고 알리기 위해 많은 연구 해왔다. 우리들이 생각한 비싼 자동차, 멋있는 집, 공부 잘 하는 아이들, 좋은 인맥  있다고 해서 행복 한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 책에서 알려주고 있다.


저자 소냐 류보머스키는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를 세 가지로 나눈다. 유전적 설정 값이 50%, 의도적 활동 40% 그리고 환경 10% 이다. 많은 연구를 한 결과 아무리 나쁜 환경이더라도 우리들의 유전적 설정 값이 50%에서 떨어지지 않다는 뜻이다. 쌍둥이 두 아이 중에 한 아이를 아주 좋은 환경에서 키우고 다른 아이를 아주 나쁜 환경에서 키운 결과 그 둘 중에 행복 지수가 10% 밖에 차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행동이 행복지수를 40% 올리나 아니면 40% 감수하나에 달려있다. 연습을 하면 누구나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행복 연습을 어떻게 하느냐를 대해서 저자 소냐 류보머스키는 여러 차례로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의미 있는 목표를 가지고, 그 목표에 헌신 하는 것이 행복하기 위해 하는 첫 번째 연습이라고 말 하고 있다. 행복을 내일로 미루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서 행복을 내일로 미루지 말라는 말은 어떤 일을 해서 행복 한다면 그 일이 지금 하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내일의 행복이 오늘 체험하게 되고, 내일은 새로운 행복을 위해 연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일에 감사를 하고, 사회적 관계에 투자하면 감사하는 일이 더 많아지고, 감사하는 일이 많아질수록 행복 지수가 높아진다고 말을 하고 있다. 저자 류보머스키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몸과 마음의 건강을 돌보게 되면 행복지수가 더욱 더 높아진다고 한다.


“미간을 펴고(또는 찌푸리고) 미소 주름을 만들고(찡그리고) 손을 펴면(주먹을 꽉 쥐면) 그대로 기쁨(짜증)을 더 많이 체험하게 될 것이다.” 행복한 사람처럼 행동 하게 되면 우리들도 행복할 수 있다고 저자 류보머스키 위 말과 같이 행복지수는 우리들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한다.


지금 아무리 나쁜 환경이 있고, 운이 나쁘다 해도 우리들의 연습이 우리들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가 연습만 한다면 가장 행복한 사람과 그러지 못한 사람의 행복지수 차이는 10% 밖에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생각은 행복이 아니라 그 생각을 행동으로 옮겼을 때가 행복하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