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빠의 자격 - 아마추어 아빠에서 프로 아빠가 되는 길잡이
서진석 지음 / 북라이프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좋은 아빠의 자격

서진석 / 북라이프 / 2013

 

 

 

 

 

 

 

 

 

 

 

 

 

 

 

 

 

 

 

 

 

 

 

 

‘좋은 아빠’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만 있을 뿐...

실제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했다.

곧 엄마, 아빠가 될 우리이지만...

남자인 신랑은 나와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다.

당연하지만 섭섭하기도 하고 또 그렇기에 내가 더 열심히 공부해서 알려줘야지.. 싶은 마음도 든다.

물론 가장으로서 어깨가 더 무거워졌고, 그로 인해 더 열심히 일하고 있으며, 또 자기 나름대로 임신한 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내 기대에 못 미치는 게 더 많다.

내가 바라는 실질적인 모습은 보다 따뜻하고 다정한 아빠의 모습, 남편의 모습이기에.

내가 먼저 읽어보고 우리 신랑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책을 펼쳤다.

 

 

엄마와 다르게 아빠가 더 잘 할 수 있는 일들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

두 아들을 키우고 있는 아빠가 쓴 이야기로,

그가 아빠로서 어떤 일들을 했는지, 어떤 마음이 들었었는지를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아이를 키우는 일에 정답이 없는 만큼, 그의 육아에는 고민의 흔적이 많고 그렇기에 더 공감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공감가고 멋있다 느낀 건, 엄마의 퇴근시간에 대한 그의 인식이었다.

 

 

 

 

 

 

 

 

종일 가사와 육아를 하는 엄마의 삶은 고되다.

아빠가 퇴근하는 시간은 엄마도 퇴근하는 시간이고, 퇴근 시간 이후의 가사와 육아는 함께 해야 하는 것이라 주장하는 그의 목소리엔 두 손 두 발 다 들고 응원하고 싶을 정도다.

그의 기본적인 인식이 이러하니 저자가 아빠로서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할 지 고민하고, 아이들과 조금 더 시간을 보내기 위해 노력하는 일들은 모두 당연한 것이 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건 정말 소수의 아빠들의 이야기란 생각이 든다.

물론 최근엔 ‘딸바보’라는 말이 유행일 정도로 너도나도 ‘딸바보’임을 자처하며 자신이 좋은 아빠임을 드러내고, 또 육아와 가사에 관심을 갖고 있긴 하지만, 그건 정말 일부란 생각이 든다. 게다가 왜 ‘아들바보’라는 말은 유행하지 않느냔 말이다. 솔직히 나는 ‘딸바보’임을 자처하는 아빠들 중 일부는 그냥 ‘딸’이 예쁜 것이지 가사와 육아에 관심이 많고 생각이 트여서 그렇다는 생각이 안 들기도 한다. 멀리서 바라보는 모습이기에 나의 편견일수도 있지만 말이다.

 

그렇기에 일부(아니 대부분의) 아빠들의 몰매를 맞을 각오로 쓴 저자의 이 책은 정말 환영할 만하다.

(나는 여름 휴가 때 보너스를 이 책 사이에 넣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육아일기를 쓰고, 가족신문을 만들고, 아이들과 여행을 가기 위해 함께 책을 읽고 워크북도 만들었다. 게다가 조금이라도 시간이 나면 두 아들들과 거실에서 맨몸으로 놀아줬다. 현재 두 아들은 고등학생과 중학생으로 어렸을 때 만큼 자주 소통할 수 없지만, 주말에 아이들에게 공부를 가르쳐준다는 명목으로 소통의 장을 열어두고 있다.

내가 기대한 것 이상으로 멋있는 아빠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아이가 귀엽고 예쁠 한 때 잠깐 참여한 육아가 아닌 아이들이 성장하는 만큼, 아빠 또한 꾸준히 성장하는 그의 모습을 보며 좋은 부모가 되는 일이 역시 쉽지 않음을 다시 한 번 느꼈다.

 

 

책장을 넘길수록 육아의 어려움, 부모됨의 어려움을 느꼈기에, 책장을 덮으며 아직 우리 신랑에게 권할 만한 책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가 태어나기도 전에 이러한 부담을 주면 가출(?)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면 내가 우리 신랑을 너무 과소평가한 것일까...

책을 읽으며 내린 '좋은 아빠' 아니 '좋은 부모'는

엄마와 아빠가 기준을 세우고 그것을 꾸준히 실천하며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와 아빠는 다르다. 아이에게 줄 수 있는 사랑의 모습도, 아이에게 키워줄 수 있는 능력도 말이다.

아이는 엄마와 아빠라는 두 날개로 자란다.

 

 

 

 

 

 

 

 

 

 

 

 

 

신랑을 '좋은 아빠'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

내가 먼저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독서일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