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그녀
부다데바 보스 지음, 김현우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월의 인도 어느 기차역 대합실의 새벽을 생각하는 일은 꽤나 즐거운 일이었다. 

처음 이 책을 펼치던 때가 

기차역이라곤 없는, 한국의 작은 도시에서.. 

아무런 낭만없는 도시 속 찻길을 쫄레쫄레 걸어가는 길에 펼쳐든 책이었으니 그럴까? 



표지의 그녀의 내려 뜬 그윽한 눈길도, 속표지의 보랏빛도, 

소설 속 단어 하나하나에서 간간히 섞여 드러나는 인도 특유의 장식물이나 지역 이름들도...

낯선 곳으로의 여행을 예감하게 해주었다.


내 비록 산부인과까지 걸어가는 짧은 길이었지만 ‘어디론가’ 떠나가는 길만 같았다. 

때마침 대기환자 중에 흑인 산모 한 사람이 있어서, 

저 진료실 뒤에는 다양한 인종의 여행자들이 있을 것만 같았다는 기분은 비밀(마치 먼 타국의 대합실처럼)!ㅋ






뜨거운 연인들


한 겨울, 선로의 문제로 기차가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마침 같은 공간에 머물렀던 사내 넷-건축가, 관료, 의사, 작가는 

겨우 잡은 대합실 한 켠에서 서로의 체온으로 겨우겨우 몸을 녹이려 하는데 

멀리서 신혼부부인 듯한 남녀가 눈에 들어온다. 

북적이는 사람들 덕분에 그나마 온기가 남은 대합실을, 마치 불편한 듯 빠져나가는 두 사람. 


자리를 비켜주지 못한 어떤 이는 그들에게 미안해하지만 

작가 한 사람만큼은 꽤 시니컬해 보인다. 내 눈에만 그렇게 보였을까. 

작가는 마치 그것은 한 때라는 양, 

그들은 단 둘이 있기 위해 기꺼이 한 겨울의 온기를 피하는 것이라는 양, 

물끄러미 바라본다.



"단 한 번도 누군가를 좋아해본 적이 없는 사람은 없어요. 

그다음에 어떻게 되었는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누군가를 좋아했다는 사실이 중요하죠. 

어쩌면 기억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어떤 기억이냐에 따라······"  (p.16)




아련한 사랑들


다 큰 사내 넷이서 

‘내 인생의 그녀’에 대해, 그들의 뜨거웠던 사랑에 대해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건축가 마칼랄은 이웃에 사는 교수의 딸을 돕고 싶었지만 

그녀 말라티에겐 그것조차 자존심을 뭉개놓는 일이었던가, 그의 사랑은 거짓말처럼 사라져버렸다. 

관료로 일하는 가간 바란은 파키란 소녀에게 고백을 듣지만 당장의 그는 사랑을 택할 수 없고, 

그녀의 결혼식에 마지못해 참석하면서 끝끝내 깨닫는다. 아 내가 소중한 사랑을 잃게 된 것이구나.

아름다운 여인 비나는 이루어질 수 없는 짝사랑에 아픈 환자. 

얼떨결에 아픈 그녀를 만나게 되며 치료하고 돌보는 의사 아바니. 

그녀의 사랑을 외면하는 친구가 원망스럽지만 

슬픔에 빠진 가련한 새 한 마리를 치유하고 싶어하는 그 또한 깊은 사랑을 앓는 사람이 아닌가 싶다. 

(물론 '결혼이 곧 해피엔딩’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아바니의 사랑은 아마도-해피엔딩이 맞겠지만. 흠. 글쎄.


가장 냉소적으로 젊은 연연들의 뜨거운 사랑을 바라보는 것만 같던 작가의 이름은 비카사. 

어떤 사랑이건 손쉽게 얻었거나 아니면 심한 열병을 앓았던 사람이 아닐까 

극과 극의 첫사랑 이야기를 예상했는데, 세상에. 

이 남자는 풋풋하고 아름다우면서 슬픈-다 갖춘(?) 첫사랑을 가졌다. 


우정 어린 세 친구가 함께 사랑한 그녀는 토루, 모나리자라고 부르고 싶던 그녀만의 우아한 모습. 

끝까지 애틋하게 사랑하고 지켜주던 작가는 지금 얼마나 슬플까, 괜히 작가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작가란 사람들은 왜 하나같이 슬픈 옆얼굴을 하고 있는 것만 같냔 말이다, 

소녀의 마음으로 돌아가 연모하게 딱 좋게. ㅠㅠ




현실의 그녀는


왜 남자들에게 ‘첫사랑’이란 특별하냔 말이다, 하며 질투 아닌 질투를 했다. 

세상 모든 남자들이 마음이 시릴 때, 

그 언젠가 마음을 오롯이 데울 따끈한 추억 하나쯤을 누구나 품고 사는 것만 같아서. 

(산부인과 의사선생님이 소설 속 아바니처럼 지고지순한 첫사랑의 주인공인가 싶기만 하고.) 


아니, 그럼 내 남자도 그런 사랑 하나 품으며 온기를 가지고 사냔 말이야? 

소크라테스의 악처라도 된 양 심통이 살짝 차오를 때쯤... 

나도 모르게 한 편의 영화를 떠올렸다. 

딱 맞아 떨어지진 않지만, 영화 <우리 선희>.


소설을 읽으며 두 번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때쯤...

이 모두의 첫사랑이 같은 사람이면 어떨까, 잠시 상상했던 것 때문일까. 

‘우리의’ 선희였지만 그 누구의 ‘선희’이지도 못했던 영화 속 선희가 떠올랐던 것이다. 


소설 속 그들의 첫사랑은 예쁘고 착하고 솔직한(영화 속 ‘선희’의 비유) ‘그녀’같기만 하지만, 

막상 그 사랑을 하던 ‘그녀’는 자신이 누군지 뭘 원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이 사람의 마음과 저 사람의 마음을 둥둥 떠다니던 존재가 아니었을까 하고. 


독특하게도-좀 엉뚱한 편이라 이해해주세요- 그런 생각이 들자, 

그들의 입에서 나온 ‘그녀’들이 하나같이 안쓰럽기도 했다.


더불어 인도 소설 속 이야기의 주체인 ‘그녀’들의 

진짜 이야기는 어떨까 더 궁금해지기도. 

(워낙 가부장적이며 계급이 강한 나라잖아요.)



아직 날이 어스름해서 젊은 부부의 얼굴은 보이지 않았지만 작가는 알았다. 

잠든 동안에도 두 사람은 서로의 존재를 잊지 않았다는 것을. 

잠든 동안에도 두 사람은 서로가 곁에 있어 충만하다는 것을. (p.174)




여잔 그렇다~ (개콘 ‘놈놈놈’ 코너 버전으로 들어주세요)

내가 누군가의 첫사랑이길 바라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의 첫사랑처럼 아스라이 멀어져 갔던 그런 존재로 보단

당장에라도 곁에 두고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진짜인 한 사람의 존재로 늘 뜨겁게 존재하고 싶다~아?








그림에 대한 변명:

불꽃같은 현실을 지내는 연인들,

기차 역의 아련한 기억에 빠진 네 남자,

거슬러 올라간 기억 속의(?)........ 진짜 ‘선희’

(홍상수 감독의 영화 <우리의 선희> 속 등장인물 세 남자와 선희)


못 그리는 솜씨로라도 한 공간에 넣어보고 싶었어요.^^ㅋ










p.s.


다 적고 보니, 저는 참으로 불같은 여자로군요. (읭?!) 

기면 기고 아니면 아닌 걸 좋아하는.


그나저나 저는 왜 마음 속에 일어난 깊은 이야기들을 

잔잔하고 차분하게 풀어내는 좋은 독자가 되지 못하는 걸까요. 또르르.


앞으로...더 많은  내공을 쌓아 보아야 하겠습니다. (결론!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