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날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나만 좋아했으면, 싶은 사람..." 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소설가 김연수는. 그래서 이 책이 더 궁금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가 그토록 좋아하는 작가의 글은 어떤 글일까.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메리 올리버. 단숨에 읽게 되리라 생각했던 얇은 책은 생각보다 오래 걸려 읽게 되었다. 일단 메리 올리버의 문장에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단어 하나하나, 표현 하나하나가 너무 반짝거려 쉬엄쉬엄 읽고 싶었기 때문이다. 마치 책상 서랍 속에 맛난 간식 감춰두고 몰래 빼 먹을 때처럼.


"Let's Beautiful!" 2010년 외국 여행길에서 마주친 그녀. 좁은 오솔길을 가는데 마주 오던 나에게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Let's Beautiful!" 그 말이, 여행길에서 풍경을 눈에, 마음에 담고 누리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그녀는 잘 모를 것이다. 

여행 길 그녀처럼 메리 올리버도 경이롭게 묻는다. "정말 아름답지 않아요?" (147쪽) 이 짧은 말이 우리 곁에 있는 풍경을 새롭게 보게 한다. 참 신기하게도 풍경을 새롭게 보게되면 풍경에 담긴 생의 의미를 다시 가다듬게 된다. 그것이 아름다운 언어의 힘이고, 메리 올리버의 능력인 것 같기도 하다. 

무심히 흘러가는 삶의 흐름을 가만히 응시하고, 사소한 풍경에 마음을 담그고,  먼지와 같은 날들이 사실 '완벽한 날들'이라는 사실을 깨닫다 보면 "정말 아름답지 않아요?"라는 메리 올리버의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며 마음에 남은 몇몇 글귀들을 따로 떼어 보관해두었다. 하지만, 살면서 다시 이 책을 읽을 때 떼어 보관하고 싶은 글귀들은 바뀔지도 모르겠다. 풍경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가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를 것처럼.

-세상이 이토록 아름다운 건 어떤 의미일까? 그리고 난 그것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까? 내가 세상에 주어야 할 선물은 무엇일까? 나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걸까? (27쪽)

-우주가 무수히 많은 곳에서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아름다운 건 얼마나 경이로운 일인가. (49쪽)

-바람 없는 날 단풍나무들이 천개를 길게 드리우고 푸른 하늘이 끝도 없이 펼쳐져 있을 때, 어느 향기로운 들판에서 불기 시작한 지 한 시간도 안된 바람이 살그머니 우리를 스치고 지나갈 때, 우리가 하는 건 무엇인가? 너그러운 땅에 누워 편안히 쉬는 것이다. 그리고 잠이 들기 십상이다. (62쪽)

-나는 평생 내면의 가장 심오한 생각들과 감정들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빛나는 교감의 도움을 받아왔다. 그 교감은 바로 내 마음과 풍경(물질계, 그중에서도 특히 세월과 함께 내게 친숙해진 부분)의 관계다. 내 교감의 대상은 나이아가라나 열대우림, 사하라 같은 거창한 풍경이 아니다. 하지만 아름답고, 비바람이 칠 때면 오대호 못지않게 활발히 물결친다. 이 풍경은 사소한 전환, 반짝이 장식, 일상적인 변화로 기쁨을 제공하는 데 전념하는 듯하며, 실제로 그렇다. 나는 그 향상성, 법칙들에 대한 준엄한 복종에서는 상상이란 걸 할 수 없고 이해는 더욱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그것은 더 귀중한 동반자다. 나의 경박함, 무관심, 정신과 마음의 부재 같은 못난 기분 상태를 끊임없이 지적해주니까. (136쪽)

-시간이 사건과 함께 풍성해지고 즐거워져야만, 비로소 생각이 시작될 수 있다. (139쪽)

지난 주 남산에 올라 서울을 한 눈에 내려다보며 동행한 지인과 이런 대화를 나누었더랬다. 

"도시, 참 회색이다. 그치?" 
"그러게요. 색칠해주고 싶네요"

회색 도시에서, 지극히 평범한 삶을 사는 내게 삶은, 세상은, 어떤 빛깔로 기억될까. 이 책 표지 색깔처럼 '코발트 블루'일까. 아니면 나에게 잘 어울리는 '핫핑크'일까. 나는 앞으로 어떤 빛깔을 가지고, 어떤 언어를 세상에 남기며 살아가게 될까. 무척 궁금해졌다. 이 책을 읽고.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