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왕이면, 단순하게 살려고 노력한다. 

생각하는 것에서 부터 행동에 옮기는 것까지 “단순함”이 주는 힘이 강하다고 믿는다. 복잡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쉽게 지친다. 그래서 말을 할 때도 간단하고 분명하게 말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나에게 말을 하는 상대방도 그런 것은 아니라, 나름대로 어떤 기준을 가지고 들어본다. 


 그냥 하는 말인가, 아니면 뭘 해 달란 말인가? 


두가지만 구분하면, 내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짜증, 너스레, 감탄, 넋두리 같은 것들은 그냥 하는 말이다. 이걸 “요구“로 받아들이면, 내가 피곤해진다. 반면에 똑같은 말을 자꾸 한다던가, 날짜, 시간, 금액 등 보다 분명한 내용이 들어가면 대개의 경우 “뭘 해 달란 말”과 같다. 이 경우에 가만히 있으면,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예를 들어, 


“오빤 내가 왜 화 났는지 몰라?”

“누구네 아들은 이번에 공무원 시험 준비한다던데...”

”우리도 차바꾸면 안돼?” 

“집이 꼴이 이게 뭐야? 평수도 작고...” 

“내가 왜 이렇게 살아야해? 나한테 해 준 게 뭐야?” 

“이 성적에 니가 잠이 오냐?” 

“이봐 김대리, 이대리 억수로 일 잘하쟤?”


와 같은 경우에는 “그냥 하는 말”이다. 말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이 열이 받거나 어떤 감정의 변화를 만들려고 하는 의도가 다분하다. 


“재직증명서 떼 오래.”

“건강보험 피부양자 어쩌고 하는 거 내일까지 해야해.”

“공인인증서 갱신이 오늘 까진데?” 

“청소기 돌려!” 

“올 때, 콩나물이랑 두부사와!” 


간단하게 내가 듣고 있는 말에 “결론”이 없으면, 흘려버려도 상관없다.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 들을 수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섣불리 본인의 감각과 센스를 발휘해서, “요구”로 인식하는 상대방은 말하는 방법을 고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