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를 위한 변명
유현 지음 / 실천문학사 / 2004년 8월
품절


대마초 또는 마리화나(Marijuana)는 THC 성분이 함유된 대마의 잎과 꽃을 말린 것을 말한다.
THC : (Tetra Hydro Canabinol) 테트라 하이드로 카나비놀-22쪽

마리화나의 신체적 정신적 효과
ㅇ 긍정적 효과 : 기분이 좋아진다, 긴장이 풀리고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창의성이 향상되고 철학적이거나 깊은 사고가 용이해진다, 청감이 발달한다, 음악에 깊숙이 빠질 수 있다, 몸의 느낌이 좋아진다, 몸과 마음의 연결이 긴밀해진다, 두통 등의 통증을 완화한다
ㅇ 중간 효과 : 인식의 변화, 식욕의 증가, 느려짐, 안구의 충혈, 구강 건조, 볼과 턱의 경직
ㅇ 부정적 효과 : 구역질, 기침-천식-호흡기의 부작용, 효과가 진행중인 동안의 기역력 저하, 심장박동의 증가-흥분-긴장, 욕구의 상실,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나 과다하게 흡수했을 경우 패닉현상, 두통, 현기증, 혼란, 심리적 의존성-24쪽

마약을 구분하는 기준은 '중독성', '의존성', '사회성'이다.
1994년 뉴욕타임스에 보도된 필립 힐츠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독성과 의존성에서 강력한 순서는 니코틴, 헤로인, 코카인, 알코올, 카페인, 대마초다. -27쪽

지난 5천년 동안 대마초로 사망에 이른 사람이 있다는 기록이 단 한 것에 그치는 것은 우연히 아니다. -32쪽

기원 전 500년 구도의 길에 나선 석가모니가 대마의 씨를 섭생했다.(대마 씨에는 THC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슬람의 제지기술은 대마를 원료로 사용하는 기술이었고 이후 700년 동안 대마는 '종이의 가장 중요한 원료'로 대접받을 수 있었다. -34쪽

19세기 유럽 제국주의 시대에서 대마는 더욱 중요한 작물로 부상했다. 바다로 진출할 수 있는 크고 튼튼한 배는 무역의 패권과 식민지의 확장에 필수적인 요소로, 대마는 질기고 튼튼한 범선의 돛과 로프의 원료로서 유럽국가들에게는 '전략적 작물'이었다.
미국의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은 자신이 대마농장주이기도 했으며 '대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에 힘을 쓴 장본인이었다.
그는 대마의 가치를 높이 여겨 담배보다 대마를 재배할 것을 권장한 인물이었다. -35쪽

대마는 군수물자이며 전략물자였고, 직물의 원료이자 약품이었으며 동시에 식품이었다. -36쪽

19세기 중반에 들어서자 대마는 또 다른 측면에서 조명되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대마의 '약리적 효과'에 주목하는 것이었다.
19세기 말까지 대마에 대한 연구는 각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는데, 특히 의학계의 보고는 찬탄일변도라고 할 정도로 긍정적이었다. -43쪽

"헤시시(Hashish)"는 암대마의 잎과 꽃에서 수지를 추출하여 고체 덩어리로 만든다. -46쪽

1951년 안스링거는 마리화나 사용자에 대한 처벌이 더욱 강화된 이른바 "보그스 법 Boggs Act"을 준비하였다.
해리스 이스벨 박사(공중보건병원의 연구책임자)는 청문회에 제출한 자료에서
"마리화나 흡연자들은 대개 가볍게 취해 낄낄거리고 웃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단지 좋은 시간을 가질 뿐이다. 비틀거리거나 쓰러지지도 않고 남에게 해를 입히지도 않는다. 마리화나의 흡연이 폭력적인 범죄를 야기한다거나 성범죄를 야기한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마리화나는 흡연 후에도 불쾌함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마리화나는 의존성도 없기 때문에 원한다면 아무 때라도 사용을 중단할 수 있다. 사실 담배를 끊는 것보다 마리화나를 끊는 것이 훨씬 쉬운 일이다." 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안스링거는
"마리화나의 위험성은 이런 것이다. 헤로인에 중독된 젊은이들의 50% 이상이 마리화나를 사용했다. 마리화나로 시작한 이들은 결국 헤로인에 손을 대게 된다. 마리화나에 대한 흥미가 반감되면서 마침내 마약주사기를 든 것이다." 라고 다변을 한다.

"관문이론(Gateway Theory)"-59-60쪽

<대마가 담배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1) 담배? 암
2) 줄담배는 피울 수 있지만 줄대마는 피울 수 없다
3) 대마로 구하는 지구
4) 죽을 염려가 없다
5) 나는 중독되고 싶지 않다
6) 더 저렴하게 피울 수 있다
7) 소프트냐, 하드냐? -88쪽

금연단체들은 담배를 끊는 방법에 대해서만 열중할 뿐이지 담배를 대신할 수 있는 그 무엇도 제시하지 못한다. 담배의 폐해가 국민건강차원에서 그토록 심각하다면 그 폐해를 감소시키는 대체재의 마련에는 왜 나서지 않는지 궁금하다.
-110쪽

녹내장 환자들에게 있어서 대마초는 실명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치료제이다. -112쪽

중독성의 5가지 의학적 속성
1) 금단
2) 의존성
3) 강화성
4) 내성
5) 독성-114쪽

대마초는 하드 드럭으로 통하는 관문이 아니라 가로막는 장벽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대마초가 헤로인이나 필로폰과 같은 강력한 마약과 별 차이 없이 취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런 기대는 충족될 수 없을 것이다. -1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Mathematica와 함께하는 응용대학수학
윤재헌 지음 / 교우사(교재) / 2007년 8월
18,000원 → 18,000원(0%할인) / 마일리지 180원(1% 적립)
*지금 주문하면 "7월 3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07년 11월 12일에 저장

Mathematica Guide Book- 입문에서 활용까지
이장훈 지음 / 교우사(교재) / 2006년 11월
45,000원 → 45,000원(0%할인) / 마일리지 1,350원(3% 적립)
2007년 11월 12일에 저장
절판
아하! Mathematica
김향숙 외 지음 / 교우사(교재) / 2001년 3월
15,000원 → 15,000원(0%할인) / 마일리지 150원(1% 적립)
*지금 주문하면 "7월 3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07년 11월 12일에 저장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nti-globalization

- 장하준

- 하워드 진

- 노엄 촘스키


2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불황의 경제학
폴 크루그먼 지음, 안진환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5월
14,000원 → 12,600원(10%할인) / 마일리지 700원(5% 적립)
2009년 06월 04일에 저장
구판절판
대한민국 경제, 빈곤의 카운트다운
김재인 지음 / 서해문집 / 2008년 9월
11,900원 → 10,710원(10%할인) / 마일리지 59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7월 1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08년 11월 10일에 저장

성장, 그 새빨간 거짓말- 경제개발 정책을 위한 개발 경제학자들의 모험과 불운
윌리엄 이스터리 지음, 박수현 옮김 / 모티브북 / 2008년 1월
23,000원 → 20,700원(10%할인) / 마일리지 1,1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09월 19일에 저장

크루그먼의 경제학 해법
Andreas Bentz 외 지음, 김진욱 옮김 / 시그마프레스 / 2008년 5월
9,000원 → 9,000원(0%할인) / 마일리지 270원(3% 적립)
2008년 09월 19일에 저장
구판절판


2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earning and Practicing Econometrics

저자 Griffiths, William E./ Hill, R. Carter/ Judge, Geo | 출판사 John Wiley & Sons Inc

정가 : 145,690원

1992년 09월 01일 출간 | 언어 : English 

ISBN-10 : 0471513644 

목차

PARTIAL TABLE OF CONTENTS: Partial table of
contents:
THE FOUNDATIONS OF ESTIMATION AND INFERENCE.
Some Basic Ideas: Statistical Concepts for
Economists.
Statistical Inference 1: Estimating the Mean
and Variance of a Population.
THE SIMPLE LINEAR STATISTICAL MODEL.
Simple Regression: Economic and Statistical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GENERAL LINEAR STATISTICAL MODEL.
Inference in the General Linear Statistical
Model.
ECONOMETRIC TOPICS 1.
Dummy Variables and Varying Coefficient
Models.
Collinear Economic Variables.
LINEAR STATISTICAL MODELS WITH A GENERAL ERROR
COVARIANCE MATRIX.
Heteroskedastic Errors.
SPECIFYING AND ESTIMATING ECONOMIC AND
STATISTICAL MODELS WITH FEEDBACK MECHANISMS.
Estimation and Inference for the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TIME-SERIES AND DYNAMIC ECONOMIC MODELS.
Bivariate and Multivariate Time-Series Models.
ECONOMETRIC TOPICS 2.
Nonlinear Least Squares.
BAYESIAN ESTIMATION AND INFERENCE.
The Bayesian Approach to Estimation and
Inference: Some Basic Definitions, Concepts,
and Applications.
ECONOMIC DATA SOURCES AND THE WRITING TASK.
Economic Data Sources, Guidelines for
Choosing a Research Project, and the Writing
of a Research Report.
Statistical Tables.
Inde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행동 경제학
도모노 노리오 지음, 이명희 옮김 / 지형 / 2007년 1월
구판절판


'사람이 사실을 토대로 과학을 만드는 것은 마치 돌을 이용해 집을 만드는 과정과도 같다. 사실의 집적이 과학이 아니라는 사실은 돌의 집적이 집이 아닌 것과 같다'-46쪽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가설에 대한 네 가지 옹호론
1)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한다'는 이론(Milton Friedman) -> 예측 결과가 좋으면 가정의 현실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논리
2) 시장에서의 도태론 : 비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주체는 시장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경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주체뿐이며, 경제나 시장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합리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별 문제가 없다는 것
3) 잠정론 : 적당한 다른 이론이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잠정적으로 합리성 이론에 따라 경제적 인간 가설을 옹호
4) 경제이론은 규범이론이고 기술이론이 아니라는 옹호론 : -31-34쪽

'우리들이 한 일을 인간의 비합리성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받아 들이지 않겠다. heuristic과 bias에 대한 연구는 합리성이라는 비현실적인 개념을 부정하고 있을 뿐이다'-36쪽

heuristic : 합리적이지 못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근거로 삼는 간편한 수단이 되는 방법
bias : 그 결과로 발생하는 판단이나 결정의 편향-36쪽

197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Herbert Alexander Simon은 주류경제학이 가정하고 있는 합리성에 대해 인간 인지능력의 한계라는 관점에서부터 체계적인 비판을 가한 최초의 경제학자이다.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는 인간을 설명하기 위해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이라는 개념을...
경제학은 제한된 합리성을 가진 인간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 ..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최적화된 기준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선택한다는 '만족화(satificing)'원리를 비롯해 합리성은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 논해야 한다는 '절차적 합리성'... -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