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자들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줄거리 :

설계자들이 있다. 대개의 설계자들은 설계를 하지 스스로 실행하지 않는다.

설계자들에게는 죽음의 설계를 실행할 도구와 설계자와 도구를 잇는 중간업자가 필요하다.

 

누구를 어떤 방법으로 죽이며, 뒤처리까지 완벽하게 정해진 설계도에 따라 살인을 저지르는 래생(來生)’

손에 피를 묻히지 않는 살인자들, 죽음을 조력하는 너구리 영감한자가 있다.

그리고 괴물을 없애기 위해 괴물들 속에 들어가 괴물이 되어버린 미토가 있다.

 

훈련관 아저씨는 래생의 실수로 인해 털보의 애완동물 화장터에서 가 된다. ‘래생과 같은 존재로 설계자의 도구 는 알 수 없는 혼돈으로 설계된 일을 실행하지 않는다. 설계를 망치는 자들은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울수 없다.

래생을 찾아와 자신의 칼을 남기고 떠난 를 래생은 애완동물 화장터에서 마주하게된다.

평범하게 어디에도 드러나지 않고 트래커로서만 살고싶어했던 래생의 친구 정안역시 주검이 되어 애완동물 화장터에 오게된다.

정안의 죽음전 미토의 설계를 알게된 래생은 미토의 설계에 화답하지 않는다.

다만, 친구 정안의 복수를 하고싶을뿐이다.

이발사를 찾아가 추의 칼로 결투를 벌이나 래생은 치명상을 입고 미토의 도움으로 몸을 회복하게 된다.

미토가 설계한 설계자들을 위한(?) ‘설계에 찬성하지 않는 래생’. 그는 그만의 방법으로 설계자들을 설계한다.

 

나의 생각 :

내가 읽은 김언수 작가의 두 번째 작품이다. 신춘문예 당선작 프라이데이와 결별하다가 인상깊어 기억해두고 있던 작가였고, 어느 날 찾아보니 소설가라는 직업에 안착해있었다. ‘설계자들책제목을 봤을 때 주인공이 설계를 하는 주체인 작품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작가는 래생이라는 청부살인업자라는 설계자들의 도구를 통해 세상의 부조리를 이야기한다. ‘래생장이문이 되어 평범하게 사랑하는 여자와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래생스스로 그기회로부터 멀리 도망쳐버린다. ‘래생은 쓰레기통에 버려져 래생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와 격리되어서 설계자들이 설계한 살인을 저지르며 살아왔다. 하지만 지워지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다시 어둠의 길로 돌아간다. 래생의 선택이 너무 슬펐다. 책속에서 가장 슬픈 장면으로 꼽고싶다. 마지막 장면을 읽으면서 더욱더 이장면이 안타까웠고 슬펐다.

정안이 죽기전까지 래생이라는 인물이 차갑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어떠한 감정을 가졌다고 느껴지지도 않았다. 친구인 정안이 죽고 미토를 만나면서 비로소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래생의 모습에서 성장을 생각했다.

 

세상은 언제나 부조리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항상 그 부조리의 실체를 끊임없이 어떤 대상을 표적으로 삼아 의심하고 또 의심했었다. 하지만 결국 우리같이 소시민들은 그 실체에 가까이 다가갈 수 없었고, 그냥 그렇게 살아가게되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정안처럼 최대한 표시나지 않게 평범하게 살고싶어했다. 그평범함이 지겨워져 특별함을 꿈꾸다가 나에게 조금의 위해가 가해지면 다시 평범함을 추구하면서 살아갔다. 평범함속에 숨어버린다. 책속의 설계자들같은 존재가 아니여도 이 사회 전체의 시스템이 설계자들에 의해 설계 되어 있었기에 평범함이 편했던 건 아니였나를 생각해보았다.

 

하이 블랙코미디 같은 문구가 한번씩 나와서 슬픈 와중에 소리내서 웃었다. 웃으면서도 그모습이 희극같아서 머쓱해졌다. 천명관 작가가 진짜 지찔함을 이야기하면서 씁쓸하게 웃게 만든다면, 김언수 작가는 슬픈 찌찔함을 이야기하면서 웃고나서 슬프게 만드는 것 같았다.

 

너구리 영감의 도서관 묘사가 눈에 보이는듯하게 그려져 그 도서관이 죽음의 거래장소인걸 알면서도 한번쯤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청부살인업자들의 이야기 하면서 그장소를 도서관으로 설정한 것이 흥미로웠다.

 

한편의 느와르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였다. 그리고 특이했던 점은 분명 대한민국, 서울, 그리고 작은 도시들을 지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국적같은 느낌이였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떠다니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 사회가 설계자가 아니면 주류가 되지 못했다는 걸 표현하는 것 같았다.

 

마지막 결말 부분은 조금 아쉬웠다. 작위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미토의 캐릭터가 충분히 매력적이나 미사사팔뜨기 여자까지 세명의 여자의 연결이 느슨하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