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엄마를 부탁해'를 읽다
오늘 '엄마를 부탁해'를 읽었다. 하루 만에. 엄마가 읽어보라는 말에 손에 잡았는데. 스스로 놀랄만한 집중력이었다. 내가 집중력이 좋아서라기보다는 이야기가 좋았다. 계속 읽고 싶게 만드는 힘, 나를 빠져들게 만드는 힘이 이야기 속에 있었다.
누가 나에게 소설의 주제를 묻는다면
소설의 주제를 누가 물었다면 난 뭐라고 할까. 아마 짧게는 한 줄로, 길게는 한 쪽에서 수 쪽으로 압축해서 소설의 주제를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잊고 지냈던 '어머니로서의 삶', 그 희생과 고통. 그것을 애써 무시하고 '어머니'라면 당연히 그래야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해온 나를 비롯한 사람들. '어머니'란 사람도 한 개인으로서 꿈이 있고, 그 꿈을 이루고 싶었을 지도 모른다는 의심조차 하지 않는 남편과 아이들. 그 아이들 중에 한 사람인 나. 왜 나는 어머니란 존재에 기생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반성했다.그리고 빨리 독립해야지, 그리고 어머니 생일 때는 꼭 내가 손수 미역국을 끓여 드려야지, 다짐도 했다.
만약 논문을 읽었다면
만약 같은 주제의 논문을 읽었다면 난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그래, 참 옳은 말이네. 그래야겠다'고 생각만 했을 것이다. 실제로 난 비슷한 주제로 쓴 논문을 읽었지만 생각만 했으니까. 우리 엄마는 어제 소설을 읽다가 엄마의 엄마인 외할머니한테 전화를 했다. 우리집에 계시다가 대전으로 내려가신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소설이 엄마를 움직였을 것 같다. 전화기 앞에 가서 전화를 하도록. 나도 오늘 소설을 읽고 외할머니가 생각나서 전화를 했다. 나까지 키워주셨던 할머니가 생각나서.
힘주어 말할수록
힘주어서 '이렇게 살아야 돼!'라고 말하는 것만큼 힘없는 말도 없는 것 같다. 부모님의, 선생님의 말씀들이 잔소리밖에 안 되는 것들도 힘주어서 말하니까 그런 것은 아닐까. 힘을 주면 줄수록 읽는 이를 움직이는 힘은 사라진다. 지은이의 주장을 담아 힘주어 말하는 논문을 읽는 사람도 드물고, 그런 논문을 읽고 인생이 바뀌었다는 사람은 더 드물다. 생각은 바뀌어도 몸까지는 잘 움직이지 않으니 삶이 바뀌기가 어려운 거겠지.
이야기의 힘!
이야기는 사람들의 머리를 바꾸는 게 아니라 가슴을 바꾸어놓는다. 사람은 머리로 움직이는 것 같지만 사실 가슴으로 말하고 행동하지 않는가. 이래야 한다고 말하지 않고 조용히 보여주고 들려주는 이야기. 그 안에서 읽는 이는 스스로 가슴으로 느끼고 깨닫는다. 굳이 힘주어 말하지 않아도 이야기가 말해주고 보는 사람들은 알아서 이해한다. 글쓴이가 말하려고 했는지 의심스러운 것조차. 글 속 어디에서도 '엄마한테 전화를 자주 하세요!'란 문장이 없어도 사람들은 전화를 한다. 더 많은 것들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각자의 방법대로 다양하게.
덧붙임 - 당연한 전제가 있으니
물론 잘 쓴, 오랜시간 공들인 이야기만 그렇다. 힘 있는 이야기에서만 이야기가 가진 힘이 나오는 거니까. 이야기꾼이 꿈이라고 말하고 다니는 나는 어떤 이야기를 만들고 있을까. 내 이야기에 힘이 없다면 왜일까, 생각해본다. 대충 쓰고, 노력도 하지 않고, 조사도 하지 않고, 힘만 잔뜩 주고 쓰면서 내 이야기에 사람들이 읽어주기를 감동받기를 기대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 정말 사람들이 들어주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있다면 잘 공들여서 다듬어서 써야겠다. 혼잣말을 하고, 혼자만 볼 이야기가 아니라면.
2009/04/08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