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저자는 실용 서적을 많이 출판하셨다. 책을 쓴 지식이 많으셔서 예시가 참고가 된다. 부제목마다 궁금해서 독서할 동기가 생겼다.

제목을 지을 땐 예수의 제자가 되라.
‘낯선 익숙함‘이 제목을 짓는 방법이라고 챗지피티가 설명한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글을 쓰면서 내 책의 무엇이 핵심이었는지와 내 생활, 나의 삶을 돌아봤을 때를 결합시켜서 나오는 것이 낯선 익숙함인 것 같다. 저자는 잘 와닿지 않지 않냐하시면서 이 대신에 예수의 제자가 되라고 했다. 여러가지 제목을 지으셨지만 다소 센 제목이 많았고, 그중 제일 순화시킨 것이 책 <자본주의 할래? 사회주의 할래?> 였다. 사회주의 들어간 책인데 1만부가 넘으면서 좋은 제목이라고 평가받으셨다고 한다.

작가의 글은 독자를 통해 완성된다.
작가됨이 고독함에서 시작하지만 독자를 두고 있으셔서 독자의 편지를 받거나 소식을 듣고 고독함과 마주할 용기를 얻는다고 한다.

나의 무엇이 책이 될 수 있을까
책 <와인에 진심입니다만> 의 저자이셔서 목차를 인용하셨다.
목차
좋아한다는 것은 일종의 돌발사고다
무슨 맛으로 먹느냐 묻는다면
와인 정가, 터무니 없는 그 이름
(...)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일지 궁금해서 와인과는 상관없이 읽어보고 싶어졌다.

쓸모가 있는 것은 어려우니까 도움이 되고자 하세요. -일론 머스크

책쓰는 일은 결국 무엇이 남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행위라고 저자가 말한다.
쓸모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책을 쓰고, 책을 써서 쓸모를 증명하는 것은 독자들이 위로를 받거나 기분좋게 웃는 것이라고 (본문)에서 저자가 말한다. 쓸모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 책의 쓸모가 웃음이나 위로라면 그건 나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좋은 글이란 무엇인가
목적을 달성하는 결정적 한 방이 좋은 글이라고 한다. 실용 서적 저자이므로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완벽한 답을 바라기보다 지인과 대화했는데 재밌었다고 말할 만했다 정도의 내용이 들어가있다. 이 책의 제일 중요한 포인트로 글을 수정할 때는 무엇이 책이 될 것인지 정말 고민이 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읽을 수 있도록 예리한 판단력이 뒷받침되어있다고 생각한다. 블로그 주인은 이 책을 글을 수정할 때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
듀나 지음 / 퍼플레인(갈매나무)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클리셰를 넣어서 가장 흔한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작가님의 희망사항이라는 것을 작가의 말을 읽고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디가 클리셰인지 쉽게 발견하기 힘듭니다. 쉽게 쓰인 소설이 아니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작은 이야기를 묶는 힘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서 흥미롭게 생각하면서 책을 읽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나는 나의 미래에 대해 생각했다. 시간인 세계의 지식을 습득하고 시간이 되는 것이 나의 유일한 목표였다.’ 과학 지식이 가득해서 조금 답답하게 여겨질 수 있는가 하면 SF 세계관에서 영광의 순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게 아닐까, 시간인, 튜바 등은 세계관에서 위엄있는 존재로서 어떤 일을 하는 걸까 하는 생각으로 계속 책장을 넘겼습니다.

‘미래도 결국 넘어야 할 현재일 뿐이다.-생택쥐베리’

다양한 6가지의 세계에서 여러 존재들이 위기를 넘기고 삶을 살아갑니다. 어떤 때는 시위를 하고 체제에서 받아들여야 할 주제를 의논하기 위한 시위를 합니다. 국회의원이 범죄자가 되는가 하면 괴물 불가사리에게서 도망쳐나와서 생명을 부지하므로 평행 우주를 넘는 일은 긴 여정입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타원체가 들어가는 빈 구멍에 올바른 시간선을 찾을 수 있는 길잡이 로봇, 야옹이를 시공간학자가 남겼어.'

머나먼 미래에서 온 일행이 주인공 일행과 함께 시간 여행을 하면서 시간선을 맞춥니다. 함정이 있는 시간대를 피해서 1980년도 여의도로 시간대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타원체를 캐리어의 빈 공간에 맞춥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을 읽으면서 주인공처럼 목적을 하나씩 달성해가는 여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
듀나 지음 / 퍼플레인(갈매나무)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리셰를 넣어서 가장 흔한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작가님의 희망사항이라는 것을 작가의 말을 읽고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디가 클리셰인지 쉽게 발견하기 힘듭니다. 쉽게 쓰인 소설이 아니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작은 이야기를 묶는 힘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서 흥미롭게 생각하면서 책을 읽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나는 나의 미래에 대해 생각했다. 시간인 세계의 지식을 습득하고 시간이 되는 것이 나의 유일한 목표였다.’ 과학 지식이 가득해서 조금 답답하게 여겨질 수 있는가 하면 SF 세계관에서 영광의 순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게 아닐까, 시간인, 튜바 등은 세계관에서 위엄있는 존재로서 어떤 일을 하는 걸까 하는 생각으로 계속 책장을 넘겼습니다.

‘미래도 결국 넘어야 할 현재일 뿐이다.-생택쥐베리’

다양한 6가지의 세계에서 여러 존재들이 위기를 넘기고 삶을 살아갑니다. 어떤 때는 시위를 하고 체제에서 받아들여야 할 주제를 의논하기 위한 시위를 합니다. 국회의원이 범죄자가 되는가 하면 괴물 불가사리에게서 도망쳐나와서 생명을 부지하므로 평행 우주를 넘는 일은 긴 여정입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타원체가 들어가는 빈 구멍에 올바른 시간선을 찾을 수 있는 길잡이 로봇, 야옹이를 시공간학자가 남겼어.‘

머나먼 미래에서 온 일행이 주인공 일행과 함께 시간 여행을 하면서 시간선을 맞춥니다. 함정이 있는 시간대를 피해서 1980년도 여의도로 시간대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타원체를 캐리어의 빈 공간에 맞춥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을 읽으면서 주인공처럼 목적을 하나씩 달성해가는 여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
듀나 지음 / 퍼플레인(갈매나무)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리셰를 넣어서 가장 흔한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작가님의 희망사항이라는 것을 작가의 말을 읽고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디가 클리셰인지 쉽게 발견하기 힘듭니다. 쉽게 쓰인 소설이 아니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작은 이야기를 묶는 힘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서 흥미롭게 생각하면서 책을 읽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나는 나의 미래에 대해 생각했다. 시간인 세계의 지식을 습득하고 시간이 되는 것이 나의 유일한 목표였다.’ 과학 지식이 가득해서 조금 답답하게 여겨질 수 있는가 하면 SF 세계관에서 영광의 순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게 아닐까, 시간인, 튜바 등은 세계관에서 위엄있는 존재로서 어떤 일을 하는 걸까 하는 생각으로 계속 책장을 넘겼습니다.

‘미래도 결국 넘어야 할 현재일 뿐이다.-생택쥐베리’

다양한 6가지의 세계에서 여러 존재들이 위기를 넘기고 삶을 살아갑니다. 어떤 때는 시위를 하고 체제에서 받아들여야 할 주제를 의논하기 위한 시위를 합니다. 국회의원이 범죄자가 되는가 하면 괴물 불가사리에게서 도망쳐나와서 생명을 부지하므로 평행 우주를 넘는 일은 긴 여정입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타원체가 들어가는 빈 구멍에 올바른 시간선을 찾을 수 있는 길잡이 로봇, 야옹이를 시공간학자가 남겼어.‘

머나먼 미래에서 온 일행이 주인공 일행과 함께 시간 여행을 하면서 시간선을 맞춥니다. 함정이 있는 시간대를 피해서 1980년도 여의도로 시간대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타원체를 캐리어의 빈 공간에 맞춥니다.

파란 캐리어 안에 든 것을 읽으면서 주인공처럼 목적을 하나씩 달성해가는 여정을 상상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험으로 경제 분야 활동에 도움되는 내용을 정리해서 수록했다. 에세이 같아서 읽기 편하다.




롤모델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