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찰 살해자 ㅣ 마르틴 베크 시리즈 9
마이 셰발.페르 발뢰 지음, 김명남 옮김 / 엘릭시르 / 2023년 3월
평점 :

마르틴 베크 시리즈 아홉 번째 『경찰 살해자』
시골 마을에서 여성의 실종 사건으로 시작되는 『경찰 살해자』 .. 이 사건은 마르틴 베크가 맡게 된다. 사건을 파헤치던 중 <로재나 사건>의 범인이 실종 여성의 이웃으로 살고 있음을 알게 되는데.. 유력한 용의자가 가까이 있었던 상황이었고 복잡한 심경에 빠지는 베크. 용의자는 이미 전과자이기도 하고 실종 여성과 마지막으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았다는 목격담까지 있다. 윗선에서는 사건을 빠르게 정리하라며 마르틴 베크를 압박하는 중에 실종자의 시신이 발견되어 수사가 마무리되나 싶었는데.... 빈집털이범들의 총격전이 발생한다. 경찰을 살해한 살해범에 대해 수사를 넓히고 대중의 모든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여성 실종사건은 종결하라 한다. 범인을 찾는 과정에 억울하게 뒤집어쓸 수도 있었지만 다행히 그런 안타까운 상황은 생기지 않았고 느리지만 흥미진진하게 전개되는 『경찰 살해자』
"우리 꼴이 우스꽝스러워지고 있어. 살인범이 신문에 자기 인생사를 늘어놓다니. 이다음에는 틀림없이 책을 써서 자신이 살인수사과를 어떻게 속여 넘겼는지를 자랑할 거야. 그런 일이 없어도 우리에게는 문제가 많아."
적어도 말름의 마지막 말은 사실이었다. 경찰은 문제가 많았다. (p.203)
"네, 반사회적 타입. 사회에 저항하는. 교육을 다 받지 않았고 직장을 가졌던 적도 없습니다. 하지만 폭력 범죄로 형을 산적도 없어요. 이따금 무기를 소지하기는 했던 모양이지만. 터프하게 보이고 싶었겠죠. 또 약물의존자였습니다."
콜베리는 한숨을 쉬었다. 이른바 복지국가에 이런 타입의 사람이 너무 많아져서, 이제 개개인을 추적하여 관리하기란 불가능했다. 더 나쁜 점은 그들을 어떻게 하면 좋은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이었다. (p.356~357)
이런저런 사건들이 복잡하게 얽히어 전개되지만 묘하게 서로 맞물려 있다. 여전히 빠른 전개는 아니다. 이런 전개에 익숙하지 않다면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다소 느리지만 '마르틴 베크' 시리즈에 담겨있는 스웨덴 사회의 문제와 비판들은 이 시리즈만의 특별함이 아닐까.
나쁜 짓을 저지르는 사람이 있고 반면에 바로 잡으려는 사람이 있고, 자신의 공권력을 무차별하게 쓰는 사람이 있고.. 거참.. 예나 지금이나 다를게 없네. 어쨌든 콜베리가 경찰과 동료에게 실망하고 사직서를 제출하기에 이르는데.. 마지막 열 번째 이야기에서는 콜베리를 볼 수 없는 건 아니겠지? 그의 사직서에 문득 왜 세상은 바뀌지 않는건지... 왜 우리가 바꾸지 못하는건지... 그냥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번엔 복잡한 전개인듯 했지만 변함없이 차분한 흥미가 있었던 아홉 번째 『경찰 살해자』.. 열 번째 「테러리스트도」기대된다... :)
#경찰살해자 #마이셰발 #페르발뢰 #엘릭시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으나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