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미쳐 있는 - 실비아 플라스에서 리베카 솔닛까지, 미국 여성 작가들과 페미니즘의 상상력
샌드라 길버트.수전 구바 지음, 류경희 옮김 / 북하우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과 글쓰기에 대한 연구를 21세기로 확장한 『다락방의 미친 여자』 40년 만의 신작!!

샌드라 길버트 + 수전 구바의 『여전히 미쳐 있는』

 

1950년 대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가, 사상가, 작가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조금씩 흔들리던 1950년대를 지나 분노로 폭발한 1960년대, 가부장제에 저항하고 틀을 깨부시는 1970년대, 페미니즘을 새로 쓰는 1980년대와 1990년대. 그리고 주춤했던 페미니즘의 부활하는 21세기.

 

실비아 플라스, 에이드리언 리치, 오드리 로드부터 수전 손택, 앨리스 워커, 그리고 토니 모리슨, 글로리아 안살두아.. 앨리슨 벡델, 리베카 솔닛 등.. 지금 시대 페미니스트들의 삶과 작품을 담아 분석하고 이야기했다. 분노를 글쓰기로 승화한 여성작가의 기록들. 그런 여성 작가들의 주요 작품들을 읽어내어 숨겨진 많은 여성들의 상처들을 폭로하고 여러 세대에 걸처 분노와 여성들의 희망(?), 꿈(?)을 볼 수 있었다.

 

화를 불러오는 부분도 있었고(같이 분노) 그럴수 밖에 없었나 싶게 답답한 문제들이 언급될때면 두 주먹을 불끈 쥐게 만들었다. 흥미로운 이야기들과 생각해 볼 만한 이야기들이 굉장히 유익했다.

 

 

■ 책 속 문장 Pick

 

"여성 억압은 조직화된 사회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억압을 형성한다. 그 억압은 가장 오래된 해묵은 억압으로, 계급, 계층, 인종에 근거한 다른 모든 억압들보다 앞선다. 그것은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계급 체계다." (p.215)

 

 

흑인 여성들이 처한 역사적 상황이 백인 여성들이 마주하고 있는 문제점들과 현저히 다른 문제들을 만들어왔다는 점, 그리고 페미니즘은 반드시 좀 더 유연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오드리 로드가 1986년 인터뷰에서 표현했듯이 "흑인의 페미니즘은 흑인의 얼굴을 한 백인의 페미니즘이 아니다." (p.378)

 

 

카슨은 버려진 여자의 딜레마를 형성하는 섹스/젠더 시스템에 분노를 표하기도 한다. 「유리 에세이」 이후에 이어진 연작시 「신에 관한 진실」이 그 분노를 논한 작품이다. 다음에 인용한 「신의 여자」라는 시의 시작 부분은 '여전히 미쳐 있는'이라는 이 책의 제목에 제사로 쓰면 좋을 내용이다. (p.400)

 

 

리베카 솔닛도 우리는 "모든 존재들이 연결되어 있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향해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어슐러 르 귄의 다음 발언을 인용한다. "어떤 인간의 힘도 인간에 의해 저항 될 수 있고 변화될 수 있다." (p.467)

 

 

애트우드는 일부 가부장제 여성 집행관들이 생존을 위해 적과 협업하고 있으며, 그들이 궁극적으로는 그 자신들이 어쩔 수 없이 섬기고 있는 성차별주의자 세력을 와해시킬지도 모른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증언들』은 낙관적인 책이며, 가부장제적인 길리어드의 붕괴와 미합중국으로의 원상회복을 꿈꾸는 책이다. 가부장제주의자들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리디아 아주머니는 오브프레드의 두 딸을 단결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길리어드 사령관들의 악독한 행위에 관한 정보를 캐나다의 지하조직 '언더그라운드 피메일로드'에 전달하는 메신저로 활약하게 만든다. 결국 자매애는 강하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p.475~476)





거의 600여 페이지의 두꺼운 책이지만 페미니즘, 여성문학에 대해 관심이 많다면 꼭 읽어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