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야마시로 아사코 지음, 김은모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엠브리오 기담』 '천재' 호러 작가의 귀환

슬프고도 기이한 서정 호러 미학의 정점

 

 

여덟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세상에서 짧은 소설' , '머리 없는 닭, 밤을 헤매다' , '곤드레만드레 SF' , '이불 속의 우주' , '아이의 얼굴' , '무전기' ,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 '아이들아, 잘 자요'

 

호러 미학의 정점이라는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

선호하는 장르는 아니지만.. 흥미유발되는 책 표지의 문장들..

 

호러는 호러인데.. 뭐랄까.. 여운과 뭔가 애잔함.. 슬픔이 왔던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잔혹하기도 하고 미스터리한데.. 비애감 무엇..!?

무서운데.. 마냥 무섭지만은 않은.. 기이한 감성의 각각의 단편..

'세상에서 짧은 소설' , '무전기' ,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 가장 인상깊었던 세 단편..

전부 다 괜찮았지만... :)

 

세상에서 짧은 소설- 귀신이 보이는 부부. 두 사람은 귀신의 정체를 알아내고 사건의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귀신의 형상은 흐려지게되는데..귀신을 보아도 생각보다 담담한 부부.. 물론 무서움도 있었지만.. 귀신의 정체를 알기위한 추리와 여러가지 논리로 정체와 진실을 알아내는 부부... 뭐지... 무서운데.. 뭔가.. 맘이 아프게 찌릿했어..

 

세상에서 가장 짧은 소설. 그 문장이 심금을 울리는 건 짧은 내용과 짧은 인생이 일치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p.45) / 세상에서 짧은 소설

 

 

무전기- 쓰나미로 아내와 아들을 잃은 남자. 잃은 슬픔으로 지낸지 2년이 지나고... 아들과 함께 가지고 놀던 무전기에서 아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는데.. 무전기에는 건전지가 없.다.... 죽은 아들의 목소리가 들린다는 건... 남자가 만들어낸 그리움일까...

 

"모든 경계는 모호해요. 각자 나름대로 현실을 인식하고, 믿는 걸 나름대로 정의해가는 수밖에 없어요."  (p.167) / 무전기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이중적인 남편. 밖에서는 신사, 집에서는 폭력적인. 다투다가 딸을 발로 차기까지 하는... 그로 인해 딸은 모서리에 머리를 살짝 다치고. 아내는 이혼을 결심한다. 이혼 후 한달에 한번씩 만나는 자리에서 남편은 아내에게 다시 같이 살자고 하지만. 아내는 거절한다. 그자리에서 아내를 때리고 딸을 억지로 끌고가 아내가 보는 앞에서 딸과 동반자살을 하는 남편. 그 이후 트라우마로. 정신과 약을 복용한다.. 그런데 어느날 어느 지점에서 자꾸만 환청이 들리는데......이 또한 엄마가 딸을 그리워해서 환청이 생긴줄 알았는데.... 하아.. 또르르... ㅠ

 

조사 결과 역시 환청으로 판명되어 내 머리가 다시 이상해졌다는 사실을 확인한다면 그걸로 안심이다. 내 머릿속에서 끝날 환청이라면 아무 문제도 없으리라. 제일 평화로운 결론이다. 하지만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불행한 일이다. 실제로 여자아이가 목소리를 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니까. 그 목소리가 어디서 들리는지 찾아내서 무슨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내가 정상일까 봐 우려해야 하다니 얄궂기 그지없지만.

(p.190-191) / 내 머리가 정상이라면

 

 

사실은 초반 소재가 조금 무서워서 몇장 읽다가 조금 머뭇했던 책..워낙 겁쟁이라숴...

하지만 쓱쓱- 읽히더니...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림.. (오와아?)

 

무섭지 않지만 무섭고.

아프지 않지만 아프고.

슬프지 않지만 슬프고.

 

호러가 이렇게 서정적일 수 있던가..

호러가 이렇게 슬플수도 있었던가...

 

뭔가 여운이 짙었던 각각의 단편...... :D

그리고 작가가 궁금해졌다.......

 

 

#내머리가정상이라면 #야마시로아사코 #작가정신 #일본소설 #책 #호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