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렁이 각시는 당신이 아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심조원 지음 / 곰곰 / 2022년 12월
평점 :
우리가 오래전에 어디에선가 들었던 전래동화 이야기를 다시 탈탈 털어가며 다시 읽는다.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살아계신 할머니들의 목소리로 이야기를 듣는 듯, 각 지방 방언으로 구술된 스크립트가 이야기마다 그대로 실려있다. 이해하는데 불편함이 있지만, 현장감은 완전 생생하다.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내가 알고있는 전래동화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 그리고 그나마 알고있는 것들도 가부장적인 유교질서에 맞도록 교훈적으로 각색된 것이었다. 이야기의 결말까지 다 전해듣고서는 그동안 내가 알고있던 이야기는 과연 무엇이었나 괴리가 너무 커서 짐짓 놀랬다.
'콩쥐팥쥐' 이야기 중에서 작가가 '새어머니가 콩쥐에서 하라고 시킨 일들'을 다시금 조명해본 부분이 있었는데, 흥미로웠다.
"방아 찧기는 왁자지껄 웃고 떠들며 손발을 맞춰 흥겹게 해야 한다. 반면 물독을 채우려면 묵묵히 한 동이씩 이고 날라야 한다. 베 짜기는 씨실과 날실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일이다. 잠을 이기며 긴긴밤을 견뎌야 하는 혼자만의 수행일뿐더러 조직 노동이기도 하다. 삼을 찢고 삼는 등의 공정은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콩쥐가 이 일들을 다 해냈다는 것은 대문 밖의 여성들과 이어졌다는 뜻이며, 노동을 조직하고 이끌어 가는 사람으로 자랐다는 뜻이다."
흠... 한번도 거기까지는 생각해 본 바 없었다. 새로운 시각이다. 행간에 숨은 이야기까지 들여다보는 눈이 정말 예리하구나 싶었다.
그리고 작가는, 원님과 결혼한 콩쥐가 새어머니와 팥쥐의 간계로 억울하게 죽고 난 후 귀신으로 남편에게 나타나 원한을 푸는 결말로 콩쥐 이야기를 마무리 한다. 콩쥐는 결코 하늘하늘 아름답고 연약하기만 했던 아가씨가 아니라 처음부터 '말하는 아이'였다고 말한다. 엉엉 울면서도 억울함을 솔직히 말하고 그 말들로 분노와 서로움을 달래며 세상과 연대할 줄 하는 인물이었다고 평가한다.
책을 읽으면서 조금 불편했던 부분도 있었다.
'머리 뚜껑이 열리는 여자'편에서 작가는 전래동화 '밥 많이 먹는 색시'이야기에 담긴 여성에 대한 편견을 다소 거친 표현으로 적어놓았다.
"오늘날까지 여성의 몸은 음식으로 취급되어 왔다. 앵두 같은 입술부터 조개인 성기가지 부위가 나눠진 채 먹을거리로 표현된다. 귀한 딸은 '고명'이 되어 음식의 때깔을 보태고, 술 취한 여성은 '골뱅이'가 되어 '따먹힌다'. 식욕와 성욕은 모든 인간의 욕망이라지만, '먹히고' '대 주는' 여성에게는 허락되지 않는다."
여성에 대한 차별과 가부장적인 풍조가 전래동화라는 포장에 가려져 무분별하게 아이들에게까지 침투하는 것은 상당히 우려스러운 부분이긴 하지만, 이렇게 노골적으로 드러내놓고 성토하는 목소리에는 아직은 좀 불편하다. 그러나 분명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문제들이 다시 생각해봐야 할 부분임에는 틀림없다.
가벼운 책인 줄 알고 펼쳤다가 마음 한 구석이 불편했다. 쉽게 듣고 넘겼던 이야기들의 속살에 이런 흔적이 있었을 줄이야...
___________
대부분 가부장인 그들의 옛이야기 작품에서 여성은 살아 있는 인간이 아니라, 아내나 어머니로 준비된 존재일 뿐이었다. 고전에서 그랬던 것처럼 현재의 '대표적' 옛이야기에서도 여성의 생각과 감정과 욕망은 그들의 의도대로 편집되고 있었다.
팥죽 할머니는 달걀, 자라, 알밤, 개똥, 송곳, 절구통, 멍석, 지게의 도움으로 호랑이한테 잡아먹히지 않고 살아남아 영원한 이야기가 되었다. 이제부터 전하려는 것은 만만찮은 여자들, 할머니와 어머니와 나와 우리 딸들의 이야기다.
우렁이 각시는 당신이 아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심조원 지음, 곰곰 퍼냄
#우렁이각시는당신이아는그런이야기가아니다 #심조원 #곰곰 #페니미즘 #전래동화의함정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