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자의 뇌가 멈춘 날, 개정판
질 볼트 테일러 지음, 장호연 옮김 / 윌북 / 2019년 1월
평점 :
철저히 좌뇌의 지배를 받던 총망받는 30대 뇌과학자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뇌과학 연구의 전문가이다보니 낙담하고 좌절하기보다는 오히려 특이한 자신의 이력을 기뻐하며 증상이 일어났을 때부터 차근차근 자기 몸의 상태를 관찰하고 어떤 상태인지 짐작해보기로 한다.
결국 8년간의 재활과정을 거쳐 완치하고 일상으로 돌아간 인간승리의 기록. 이 과정을 환자이자 뇌과학자의 입장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가는 완치에 이르는 과정 중 좌뇌와 우뇌의 균형있는 개발을 중요한 포인트로 잡았다. 보통 분석하고 판단내리며,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들은 좌뇌에서 주로 담당하고, 우뇌에서는 느끼는 것, 공감하는 것, 평화로운 마음이 되도록 하는 데에 관여하는 편이라는 것.
치료과정과 회복과정 중에 본인의 처지를 불안해하고 비관하려는 마음이 들 때마다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훈련을 통해서 본인스스로의 뇌를 다스리고 평화로운 마음이 되도록 개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고 기술한다.
책의 말미에는 평화로운 마음이 되도록 우뇌를 활성화하는 방법들을 몇 가지 소개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후각을 통해서 마음이 편안해지는 냄새를 맡는다든지 비를 맞으며 온몸의 감각을 일깨우는 방법 등이다.
뇌과학자가 직접 뇌졸중을 겪고 이겨내는 과정을 쓴 책은 처음인듯. 무척 새롭고 설득력있게 들렸다. 뇌졸중 환자가 아니라도 좌뇌를 너무 혹사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도 좌뇌와 우뇌의 균형있는 사용과 개발은 무척 필요한 활동인듯 하고. 도움이 많이 될듯 하다.
____________
‘맙소사, 뇌졸중이야! 내가 뇌졸중에 걸렸어!’
그리고 다음 순간, 이런 생각이 스쳤다.
‘우아, 이거 멋진데!’
일시적으로 황홀한 마비 상태에 빠졌다. 내가 이렇게 복잡한 뇌의 작용을 예기치 않게 들여다볼 수 있었던 것이 실은 다 생리적 이유를 알고 있어서였다는 생각이 들자 묘하게 우쭐한 기분이 되었다. 나는 계속 생각했다.
‘자신의 뇌 기능을 연구하고 그것이 무너져 내리는 과정을 들여다보는 기회를 가진 과학자들이 얼마나 될까?’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질 볼트 테일러 저
#나는내가죽었다고생각했습니다 #질볼트테일러 #뇌졸중 #뇌과학자의뇌가멈춘날 #윌북 #아마존베스트셀러1위 #세계에서가장영향력있는100인 #테드인기강연 #하버드대뇌과학자의뇌졸중체험기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