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이달 - 제25회 시바타 렌자부로상 수상작 ㅣ 사건 3부작
가쿠타 미츠요 지음, 권남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2월
평점 :
‘돈’이 정말 호환 마마보다 무서운거구나 알 수 있게 해준 소설. 일본작가 특유의 섬세한 심리묘사와 친절한 상황설명이 소설 속의 상황을 더욱 실감나게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작가의 필력이 근사했다는 것은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인듯.
은행에서 일하는 직원이 내돈과 남의 돈을 구분짓지 못하고 그저 잠깐 빌려쓰고 돌려놓으면 된다는 생각을 하 기 시작하면서 모든 불행이 시작된다. 생각해보면 카드를 아무생각없이 사용하는 것도 그 비슷한 맥락 아닌지. 물론 규모있게 잘 사용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얼마나 쉽게 ’지름의 유혹‘에 빠질 수 있는가 하는 것은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 속에는 돈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가치관이 다른 부부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이 또한 돈 이야기와 더불어 요즘의 현대 부부들이 겪을만한 일반적인 문제들이라 어떻게 전개될지 흥미진진했다.
서로 다른 가정환경, 경제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이 부부가 되어 함께 가계를 꾸려가다보면 역시 돈에 대한 의견도 협의를 해야함은 물론이요, 자녀를 훈육하는 방식이나 시간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대화를 통해 합의를 이루어야 할 터.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희생하거나 무조건 강요하는 관계라면,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곪은 상처가 터지듯 잠재된 문제들이 일시에 드러나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되고 말 것은 자명하다. 문제는 크게 터지기 전에는 그 누구도 얼마나 위험한 상황에 이르렀는지 감을 잡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
모처럼 흥미진진한 일일드라마 보는 기분으로 빠져들어 읽었다.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세상에서 제일 쉬운 일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게 돈에 의지해서 삶을 유지하는 것이 과연 얼마나 효과적일지 자못 의문이 들었다. 이것도 돈 없는 사람이 하는 자조에서 나온 편견일까? ㅋㅋㅋ
___________
사진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절, 사진관에서는 초승달 모양의 가짜 달을 만들어서 그곳에서 사진을 찍는 것이 유행이었다고 한다. 가짜 달을 보며 찍었는지, 달 모양 위에서 찍었는지 모르겠지만, 한껏 포즈를 잡으며 행복한 얼굴로 가족 혹은 연인과의 추억을 사진으로 남긴 것이다. 물론 그것은 종이가 아니라 나무로 만든 달이었던 것 같지만, 거기에서 비롯되어 ‘종이달’이라고 하면, 연인이나 가족과 함께 보낸 가장 행복한 한때를 의미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얘기를 듣고 보니 ‘종이달’은 너무나도 이 소설과 잘 어울리는 제목이란 생각이 들었다. ‘종이달’이 ‘가짜’와 ‘가장 행복했던 한때’를 중의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라면.
종이달 | 가쿠타 미츠요, 권남희 저
#종이달 #가쿠타미츠요 #위즈덤하우스 #횡령사건 #일본소설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