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혹은 자립청소년들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이야기를 읽을 때면 혹시나 그동안 내가 잘 모르고 이들을 마음아프게 하지 않았을까 되돌아보게 된다. 예를들면, ‘결정장애’라는 말이나 ‘벙어리장갑’ 같은 일상용어를 아무 생각없이 일상용어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아!’하는 탄성을 지르며 반성하게 되곤 하는 것이다.

사실, 뭐 그런 것까지 예민하게 따지는가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내 얼굴이 큰 반점이 있다고 사람들이 쳐다보고 왜 그런건지 자꾸 물어보고 심지어 재수없는 사주를 타고나서 그렇다고 피하고 저주하는 지경이라면 어떨까. 창피하고 귀찮고, 사람들의 세심함과 타인에 대한 배려의 민감성이 아쉽고 원망스러울 것이 당연한 것과 마찬가지 이유다.

이런 책이 불편하고 너무 일방적으로 한쪽 편만 든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다. 그 사람들도 사회젹 약자들이 가진 것처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어려움이 보이지 않을 뿐이지, 누구나 나름의 약점과 힘든 점들은 마찬가지 일 것이다. 그 이웃들의 의견 역시 일방적으로 비난받거나 잘못됐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저 우리 사회 구성원들 모두가 함께 살기 위해서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상처주지 않는 최적의 선을 찾아보자는 것. 내가 당연하게 누리는 권리를 사회구성원 모두가 모두 다 함께 당연하게 누리게 하자는 것. 그거면 되는 것일 텐데.

쉽지 않지만 자꾸 이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조금씩 더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 알아야 실수하지 않는다. 일부러 상처주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알고 조심하는게 인지상정이다.
____________

우리는 모두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 우리를 본질적으로 가르는 차이란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사람으로서 보편성을 공유하지만, 세상에 차별이 있는 한 차이는 실재하고 우리는 그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내가 모르고 한 차별에 대해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 “몰랐다” “네가 예민하다”는 방어보다는, 더 잘 알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는데 미처 생각지 못했다는 성찰의 계기로 삼자고 제안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우리들은 서로에게 차별의 경험을 이야기해주고 경청함으로써 은폐되거나 익숙해져서 보이지 않는 불평등을 감지하고 싸울 수 있다. 우리가 생애에 걸쳐 애쓰고 연마해야 할 내용을 ‘차별받지 않기 위한 노력’에서 ‘차별하지 않기 위한 노력’으로 옮기는 것이다.

선량한 차별주의자 | 김지혜 저

#선량한차별주의자 #김지혜 #창비 #차별없는세상 #실수가반복되면더이상실수가아니다 #알아야한다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