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억울한 죄목으로 감옥에 수감되어 10년동안 복역하며 굶주림과 심한 노동에 시달린 주인공 슈호프. 그는 극한의 경험 속에서도 절대 자기임을 포기하지 않는다. 추위에도 불구하고 식사시간엔 꼭 모자를 벗고, 주어진 노역도 성실하게 해낸다. 다른 수감자들과도 존중하며 도와주려고 노력한다. 그에게는 별 일 없이 보낸 무사한 하루하루가 그저 고맙고 기쁘다.

수용소 안에서의 하루하루 기록이 이 작품의 내용 전부다. 그냥 너무 착하고 우직하기만한 주인공이 안쓰럽다가 답답하다가 바보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나중에는 슈호프 자신도 자기가 정말 감옥밖을 나가 자유롭고 싶어 했었는지조차 의심할 정도가 된다.

작가 솔제니친은 일상적인 수용소 안의 기록을 통해 전세계에 소련 공산주의 체제 아래에서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가림이나 거름없이, 온건하고 조곤조곤한 말투로, 그러나 노골적으로 그려냈다. 억압 아래에서 서서히 적응하고 마침내 저항할 마음마저 잊게만드는 것이야말로 인간이 인간에게 저지를 수 있는 가장 큰 죄악이 아닐지.

죄와 벌, 대위의 딸,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이후 간만에 읽은 러시아 소설이었다. 세계 어느 곳, 어느 시절에나 힘들고 극적인 영화나 소설같은 상황들이 있었겠지만, 러시아 문학 속에서 본 그들이 삶은 그중에서도 꽤나 견디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음...
________

슈호프는 아주 흡족한 마음으로 잠이 든다. 오늘 하루는 그에게 아주 운이 좋은 날이었다. 영창에 들어가지도 않았고, ‘사회주의 생활단지’로 작업을 나가지도 않았으며, 점심 때는 죽 한 그릇을 속여 더 먹었다. 그리고 반장이 작업량 조정을 잘해서 오후에는 즐거운 마음으로 벽돌 쌓기도 했다. 줄칼 조각도 검사에 걸리지 않고 무사히 가지고 들어왔다. 저녁에는 체자리 대신 순번을 맡아 주고 많은 벌이를 했으며, 잎담배도 사지 않았는가. 그리고 찌뿌드드하던 몸도 이젠 씻은 듯이 다 나았다.
눈앞이 캄캄한 그런 날이 아니었고, 거의 행복하다고 할 수 있는 그런 날이었다.
이렇게 슈호프는 그의 형기가 시작되어 끝나는 날까지 무려 십 년을, 그러니까 날수로 계산하면 3613일을 보냈다. 사흘을 더 수용소에서 보낸 것은 그사이에 윤년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영의 저

#이반데니소비치수용소의하루 #알렉산드르솔제니친 #민음사 #러시아문학 #수용소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