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 진화인류학자, 사랑의 스펙트럼을 탐구하다
애나 마친 지음, 제효영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과학자들을 보면, ‘참 피곤하게 사는 것 같다’ 싶다. 뭔가 대상이 나타나면 ‘도대체 이것은 무엇인가?’ 적절한 몇 마디로 정의하고 명확히 정체를 밝혀야 직성이 불리는 사람들.

가끔 명쾌한 통찰에 감탄이 나올 때도 있지만, 이번처럼 ‘사랑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니. 누가봐도 명쾌한 답이 나오기 힘들 것 같은데, 그래도 과학적으로 어떻게든 설명해보려고 애를 쓰는 모습이 참, 과학자답다.

저자는 사랑이 가진 모습들을 10가지 측면에서 설명한다. 인간의 생존 문제로서의 사랑, 중독적인 측면의 사랑, 부모자식간 애착관계의 사랑, 우정, 유전학적이로 접근한 사랑, 사회적인 의미의 사랑, 독점적인 사랑, 신과의 사랑, 통제수단으로서의 사랑, 변화의 동기가 되는 사랑 등등. 호르몬을 가지고 설명도 하고, 역사•문화적인 이유를 들이대기도 한다.

그야말로 물고뜯고 맛보고 즐기면서 아주 탈탈 털어내듯 사랑이라는 개념을 요리한다. 더 이상 사랑에 대한 논의는 없을 거라는 듯 정신없이 이야기가 흘러가는데, 결론은 딱 이 한 마디다.

사랑은 모든 것이다.

아, 이 허무함을 어쩌란 말인가. 이렇게 될 줄은 알고 있었지만, 알면서 당하니 더 속이 쓰리다. ㅋㅋㅋ

잠시 허탈했다가 이런 생각도 들었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랑이라면, 지금 내가 품고있는 마음의 어떤 장면도 사랑의 한 조각 일지도 모르겠다는. 그 아름답고 훌륭하다는 사랑이라는 녀석이 내 안에도 어느 새 들어와있을지 모른다는 엉뚱한 생각에 울컥한다. 감사할 일이다.
_____________

나는 미래에서 온 과학자에게 하고 싶은 질문을 이것으로 정했다. “당신은 어떤 사랑을 하고 있습니까?”
나는 딱 하루만 다른 사람의 사랑을 경험해보고 싶다. 그 사람이 친구, 가족, 자녀, 연인, 신에게 어떤 사랑을 느끼는지 알고 싶다. 우리가 사랑이라고 말하는 것이 전부 다 같은 것인지 우리는 알 수가 없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사랑을 경험할 기회가 생긴다면 사랑이라 불리는 것이 어떤 것인지, 우리가 각자 느끼고 경험하는 것이 비슷한 범위 내에 있기는 한 건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 애나 마친, 제효영 저

#과학이사랑에대해말해줄수있는모든것 #애나마친 #어크로스 #과학자가말하는사랑 #사랑의정의 #사랑 #사랑은모든것이다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