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읽은 홍은전 작가의 [그냥, 사람]중에 나왔던 공장식 축산과 동물권에 대한 아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룬 책. ‘어떤 동물이든 구하 주거나 자비롭게 죽여 주거나 둘 중 하나는 해주어야 한다’는 명제가 가슴을 때린다.

어릴 때 엄청 많았던 KFC가 어느 순간 사라져서 의야했던 기억이 있다. 그라고 더이상 KFC에 ’치킨‘이라는 니름을 붙이지 않는다는 뉴스를 들었을 때도 솔직히 그게 무슨 의미였는지 알지 못했었다.

책을 읽다보니 알게 됐다. 미국에서 KFC에 납품하는 엄청난 규모의 닭 도축 회사에서 정해진 도축방법이 아닌 잔인하고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닭들을 고문하고 괴롭힌 정황이 적발되었었다는 사실을.

자본주의가 점점 더 놀라운 고도의 경지로 발전하고 있는 와중에 ‘대량생산•대량소비’의 흐름 안으로 동물까지 들어와버린 상황. 이런 공장식 축산환경에서는 인간도 절대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러운 환경과 성장촉진제 등의 약물로 쩔어진 채 도축되는 동물들을 먹어야 하는 것이 바로 우리 인간이니까. 동물의 고통없이 죽을 권리를 논하는 것은 차자애 두더라도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유기농‘이니 ‘방목’이니 하는 것들도 정해진 규정이 모호하거나 전무하고, 믿을 수 없는 선전에 불과하다는 것도 공공연한 사실. 이 와중에 동물들은 평생 하늘한 번 제대로 보지못하고 짧은 평생 전등불빛 아래서 알 또는 새끼를 생산만 하다가 죽어간다.

저자는 이러한 공장식 축산을 위해서는 한 푼도 내줄 수 없다는 취지에서 강력하게 고기를 먹지않는 채식주의자의 삶을 택했다. 물론 그런 이유 뿐만 아니라 동물들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도 크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개체수를 늘리는 것을 막기위래서도 육류소비를 줄이거나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고나니 무척 심난해졌다. 내가 좋아하는 닭들이 시골집 마당에서 행복하게 자라다가 한 방에 정신을 잃고 쓰러져 맛있는 음식으로 내 앞에 서빙된 것이 아니라는 것쯤은 알고있었지만, 설마 이 정도 일 줄은 정말 몰랐다.

당장 채식주의자가 되라고 종용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내 건강을 생각해서라도 육류소비는 덜하게 될 것같은 느낌. 아, 심난하다. 오늘따라 새삼스럽게 회사에 같이 근무하는 비건 원어민 동료가 참 대단해보인다.
_________

마리오의 도축실로 가는 길에, 죽음을 목전에 둔 돼지의 시선에 문득 놀랐다. (당신은 누군가의 눈에 마지막으로 비친 모습이 되어 본 적이 있는가?) …. 돼지는 내 망각을 담는 그릇이 아니었다. 그 동물은 내 관심을 담는 그릇이었다. 나는 그 점에서 위안을 느꼈고, 지금도 느낀다.

나의 위안이 그 돼지에게는 의미가 없다. 하지만 나에게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이것이 내가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다. 지금으로서는 먹히는 쪽이 아니라 먹는 쪽의 입장에 서서 그렇게 빤히 다 알면서 고의적으로 망각할 수는 없다.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 조너선 사프란 포어, 송은주 저

#동물을먹는다는것에대하여 #조너선사프란포어 #민음사 #공장식도축 #채식주의 #동물권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