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욕망과 권태 사이에서 당신을 구할 철학 수업 ㅣ 서가명강 시리즈 18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박찬국 저
‘신은 죽었다’고 말한 니체에게 큰 영향을 준 염세주의자 쇼펜하우어. 당시 수많은 젊은이들을 자살로 몰아간 철학자이건만 정작 자신은 장수했다는 후문이— 자세히 책을 읽기 전부터 별로 쇼펜하우어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사람, 꽤 괜찮은 것 같다는 쪽으로 돌아섰다. 꾸역꾸역 살아봤자 별거 없다, 고통스럽고 허무할 뿐이니 이 꼴 저 꼴 보지말고 그냥 끝장 내~ 이런 사람인 줄 알았는데, 인간이 가진 욕망들을 내려놓고, 혹여 비극적인 상황 앞에서도 의연하게, ‘내가 잘못해서‘가 아니라 누구에게라도 일어날 일이었다, 다시 딛고 일어서는 의지를 불태울 기회로 승화시켜야 한다 말한다. 인생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까지 제시하고 있던 셈이다.
또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화엄경〉의 핵심사상, 즉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가르침을 말하는 철학자였던 것. 무엇보다 본인의 욕망을 다스리되, ‘욕망없는 마음이 되겠다’는 의지 조차도 욕망이 될 수 있다는 독특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었다. 어쩌라는 건지 ㅋㅋ
동정심을 가지고 ‘울 수 있는’ 존재이며 우리 모두가 결국엔 하나라는 의식을 가진 쇼펜하우어는 굉장히 동양적인 느낌이 나는 사람 같다. 그러나, 지인들과의 일화에 따르면 그는 거북할 정도로 직설적이고 면전에서도 바른 말로 상대방의 입을 막아버릴 정도의 싸움꾼이었다는데, 그리 너그럽고 여유있는 사람은 아니었던 것 같기도 하고. 재미있다. 니체에 관한 이야기도 한 번 읽어볼까 싶다.
____________
오랜 겨울밤은 끝나려고 하지 않는다.
제발 겨울밤이 끝나고, 햇빛이 머물 수 있다면.
폭풍이 올빼미와 함께 경쟁하듯 울고
허물어진 벽가에서 무기들이 철렁거린다.
무덤이 열리며 자신들의 유령들을 보낸다.
이들은 내게로 와 원을 돌려고 하고,
내 영혼은 치유될 수 없음에 깜짝 놀란다.
그러나 나는 이것에 시선을 돌리지 않겠다.
낮, 낮을 나는 크게 알리고자 한다!
밤과 유령들은 한낮 앞에 달아날 것이다.
이미 새벽 별은 낮을 알린다.
곧 밝아질 것이다, 아주 깊은 근원으로부터.
세상은 광채와 색으로 덮일 것이다.
깊은 푸르름이 무한하게 먼 곳까지.
#사는게고통일때쇼펜하우어 #박찬국 #사는게고통일때쇼펜하우어_박찬국 #21세기북스 #쇼펜하우어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