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의 집을 찾아서 한젬마의 한반도 미술 창고 뒤지기 2
한젬마 지음 / 샘터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는 화가나 미술작품 하나 제대로 없는 내게. 이책은 미술작품에 대한 긴장을 조금 풀어주었다.그나마 이름을 댈 수 있는 화가 몇몇도, 거의 외국화가들이다. 한국사람으로서 응당 부끄러워야 할 일 아닌가

제목 그대로, 한젬마가 우리나라 화가들의 생의 흔적을 따라가며 보고 느꼈던 것들은 독자들에게 쉽게, 담백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녀의 인연들을 이야기하는 것도 흥미로웠다. 이 책에서는 12명의 화가들의 그림과 이야기가 들어있다. 그 중 내가 알고 있는 화가는 김기창과 박수근이었는데, 그나마 소개되어 있는 그들의 작품은 생소했다.

하지만, 화가의 대표작을 처음으로 해서 그 뒤로 이어지는 그녀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보면, 그 화가의 생가에 직접 찾아가보고 싶어지고, 다른 작품들도 찾아보고 싶어진다. 거의 일제시대와 분단을 거치며 활동한 화가들의 힘겨운 생애에 안타까움이 느쪄지기도 하고, 유쾌한 일화에 웃음이 나기도 했다. 내 비록 미술에는 문외한이지만, 한젬마가 주장하는 한가지는 알아 들을 수 있었다. 미술작품을 대할때, 그 작품 뒤에는 사람이 있다는 것, 나와 같은 하늘아래 살아온 마음 따뜻한 사람을 느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미술관에 가서, 그림앞에 서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마냥 사치스런 취미라고 생각했지만, 그림과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주었다. 그림을 감상하면서 그림에 대한 설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 화가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작품을 대한다면, 분명 다른 무언가를 느낄 수 있다.

제일 처음에 소개된 김기창 화백의 '태양을 먹은 새'... 책장에 작게 인쇄되어 있을 뿐인 그림에 가슴이 먹먹해짐을 느꼈다면, 화가가 말하고자 할 것을 아주 조금이라도 알 수 있었던 것일까? 미술과 아주 거리가 멀다고 생각한 내가 미술과 가까워졌다고 착각을 하게 해준 아주 고마운 책이다.

책을 읽으며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 문화재 관리체계가 너무 허술하다는 점, 민족의 미술사에 큰 업적을 세우고,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보물이 될 수 있는 화가들의 흔적을 너무 등한시 하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한젬마의 이런 시도가 더 빛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