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의 대화 - 새로 읽는 남북관계사 새로 읽는 관계사 시리즈
김연철 지음 / 창비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단이 되고 나서 한동안은 중공업 위주의 경제정책을 펴고, 전력 생산에서의 우위를 가진 북한의 경제가 나았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소위 '한강의 기적'을 이뤄내면서 한국은 체제 면에서도, 경제 면에서도 모든 면에서 북한을 월등하게 앞지르고 있다. 만약 지금 상황에서 남북의 경제를 개방하고, 또 교류를 확대하다면 어떤 나라에 이득일까? 당연히 한국이 아닐까? 그런데도 지난 시기의 대북정책은 60-70년대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오히려 후퇴하고 있는 것 같다.

군사정부, 즉 박정희 정부, 전두환-노태우 정부에서 늘 북한과 대립만 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사실은 군사정부에서 오히려 북한과 더 많은 대화를 하려 했고, 한반도의 평화를 만들기 위해서 힘을 쏟았다는 사실이다. 기싸움(?)에 지지 않으려고 그랬는지는 모르지만, 앞서 나가는 경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먼저 대화를 제의하고, 북이 곤란한 요구를 해와도 선뜻 받아들이는 모습 등을 먼저 보여준 점이 인상적이었다. 박정희 정부에서 명명했다고 하는 '대결이 있는 대화의 시대'와 딱 맞아떨어지는 상황이다.

다른 여러 책이 있는데, 왜 유독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된 것일까? 그건 이 책이 분단 이후 현재까지를 남북관계 전문가의 관점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비교하고, 해석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깊이 아는 사람은 글도 쉽게 쓰는 듯하다. 남북관계라는 그 어려운 주제를 이렇게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쓰다니. 평창동계올림픽을 맞아 남북교류가 물꼬를 튼 현 시점에, 또 올림픽 이후 어떤 대화의 모습이 그려질지 궁금한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간 해왔던 여러 역사적 경험을 토대로 이후의 시나리오를 각자 그려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남북대화의 희망을 보는데, 이 책을 읽은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