꼿 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 신문광고로 본 근대의 풍경
김태수 지음 / 황소자리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들고 한참 동안 표지를 들여다봤다. 지난 주 신문에서 보았던 책이 바로 이 책이란 말인가? 신문광고로 근대를 들여다본다고 했겠다. 표지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포르노그래피다. '밤의 쾌락을 맛볼랴는 남녀에 권함'. 음... 차례를 본다. 제일 마지막 장이군. 다음은 고무신. 조그만 글씨부터 들여다본다. 풋.. 일년 사용 보증. 뒤축이 닳지 않는 것. 틀림없는 허위광고다. 그러나 밉지만은 않다. '술은 가로대 자용품'이라니. 표지만으로도 재미를 주는 책이다. 뒷 표지에는 뭐가 있을까나. 오오~ 김훈의 추천사가 있다. 내 오늘 이순신을 좋아하는 아내를 위해 '칼의 노래'를 샀건만. 이 무슨 조화란 말인가? 과소비인줄은 알지만 두 권을 몽땅 사버렸다.^^ 그리고 이 자리에 앉아 처음으로 북글을 쓸 생각을 하다니 오늘의 판단은 그리 나쁘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렇게 장난스럽게 시작하는 것은 나 나름의 이유가 있어서다. 근대, 다시 말하면 일제 강점기 역사를 접할 때면 몸 안에서 ™“아 오르는 분노를 느끼곤 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우리의 근대를 달리 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일제치하에서 숨죽이고 살았을 거라는 막연한 추측을 확인조차 해보려 하지 않은 나 자신에 대해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인지도 모르겠다. 그런 까닭에 적어도 이 책을 읽은 나만큼은 쾌활하고 명랑해져야 하리라.

그 쾌활함 속에는 진실이 담겨 있다. 문명국에는 모두 성병이 있으니 조선은 문명국이라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폈던 세상, 나라 잃은 설움은 훈장을 3원에 전당포에 맡기게도 했다. 그래도 50전인 요강보다는 나았으니 울어야 할지 웃어야 할지 모르겠다. 밥 먹기도 힘든 세상에 화학조미료 아지노모도 광고를 보는 것은 또 어떤가? 너무도 세련된 그 광고들과 겹쳐지는 근대의 풍경이 묘한 빛을 띤다. 그리고 지금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신문에 버젓이 등장한 기생들의 '정액제 요금' 광고, 포르노그래피 광고는 '섬나라 정치'가 우리의 모습을 얼마나 망가뜨려 놓았는지를 확인하게 해준다. 지금과 다를 바 없는 영어 열풍도 무척 놀라운 사실이다. 영어를 '출세의 자본'이라고 한 것은 시대를 앞서가도 한참 앞서간 말이지 싶었다.

쾌활하게 이야기한다고 해놓고는 너무 무게 잡았나? 이 책에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훨씬 많다. 사진도 꽤 된다. 술을 약이라고 하면서 출근 전에 한잔하라고 권하는 광고, 여학생들은 일주일에 적어도 한 번은 머리를 감으라고 한 것 등을 보면 절로 웃음이 새어나온다.

북글을 쓰기 전까지는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더니 쓰고 나니 생각이 조금 정리가 돼는 것 같다. 개인적인 독서 편력 탓인지 올해에는 잔잔한 책들만 읽었던 것 같다. 오래간만에 박력있고 매력있는 책을 만난 것 같다. 오늘 밤 꿈에는 근대로의 시간여행을 떠나 볼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