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노 요코 - 마녀에서 예술가로
클라우스 휘브너 지음, 장혜경 옮김 / 솔출판사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나에 대한 반감은 적어도 세 종류입니다. 반아시아, 반페미니즘, 반자본주의적 반감이지요. 다들 이렇게 말해요. 저 늙은 여자를 봐라. 저 돈 많은 과부를 봐라.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 오노 오쿄

“오노 요코 어땠어? 마녀 맞지?” 지난 6월 20일 오노 요코 기자회견에 다녀왔다는 나에게 어느 여자 선배가 물어본 말이다. 음악지 기자 출신인 그 사람이, 그것도 여자가 그런 말을 할 정도면 한국 사람 대부분은 ‘오노 요코는 마녀다’라는 선입관을 갖고 있는 게 분명해 보인다. 꼭 요코가 말한 반감은 아닐 지라도 많은 사람들이 좋지 않은 인상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 이유는 오노 요코를 비틀즈 해체의 주범으로 철썩 같이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견은 그녀를 하나의 개인으로,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하지 않고 그저 비틀즈 멤버 존 레논 아내로만 여기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흔히 ‘마녀’라고 생각될 만큼 오노 요코에 대해서는 잘못 알려진 부분들이 많다. 우선 그녀는 레논을 만나기 이전에 이미 영화 제작, 설치 미술, 행위 예술 등 여러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치열하게 살아왔던 당대의 아티스트였다. 독일 저술가 클라우스 휘브너가 쓴 이 책은 그러한 전위 예술가로서 오코 요코의 복권(復權)을 꾀하고 있다. 존 레논과의 애정관계 보다는 예술집단 플럭서스(Fluxus) 등 현대 미술 운동의 태동을 함께 한, 관습과 금기에 저항했던 독자적인 한 예술가로서 오노 요코의 면모와 작품세계를 조명한다.


1933년 2월 18일 일본의 상류층 가정에서 태어난 ‘바다의 아이’ 요코(洋子)는 음악을 좋아하는 부모님 덕에 일찍 미국에서 음악 공부를 하며 순탄하게 성장했다. 보수적인 가정환경에 숨막혔던 그녀에게 미국으로의 이주는 탈출구였다. 일본의 가부장적 문화에 벗어날 수 있는 더 없이 좋은 기회였다. 뉴욕으로 건너간 요코는 전위에술계에 투신한 뒤 존 케이지, 마르셀 뒤상, 백남준 등의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플럭서스의 일원으로서 활발한 작품과 퍼포먼스 활동을 벌여나갔다. 특히 플럭서스 그룹의 초기 예술활동은 상당 부분 오노 요코에 빚을 지고 있었다. 그렇게 뉴욕 예술계의 거물이 덕분에 존 레논을 만나는 결정적인 순간도 가질 수 있었다.


퍼포먼스와 오브제 미술을 거쳐 오노 요코는 1966년 엉덩이를 노출한 영화 [궁둥이]로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오노의 예술활동 중 가장 인상적인 이벤트는 영국 트라팔가 광장의 석조 사자상을 흰 천으로 휘감아버린 사건. 넬슨 제독이 프랑스 함대를 물리친 ‘위대한 전승 기념비’였던 웅장한 사자상을, 한 일본 여자 오노가 흰 천으로 모두 덮어버린 것이었다. 오노는 어리석은 전쟁을 벌이고 그 승리를 기념하기까지 하는 남성들의 세계를 조롱하기 위해 그것을 휘감아 가린 것이었지만, 이는 영국인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불경죄에 가까운 행동이었고 영국인들로부터 ‘미친 여자, 전 세계인이 가장 혐오하는 여자, 마녀’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다.


그밖에도 오노 요코는 ‘당신이 원한다면, 전쟁은 끝난다(WAR IS OVER, if you want it)’이란 문구로 유명한 평화운동가, 부부 역할 바꾸기를 실현한 여성운동가 등으로 지금까지 활약해왔다. 런던의 한 평론가는 오노가 시도했던 아방가르드와 팝의 역사적인 충돌에 대해 “패티 스미스, 피제이 하비, 코트니 러브 외 다른 가수들의 노래를 들으면 이들에게서도 오노의 호기심 가득한 괴성이 들린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그녀의 음악적 성과를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한 글 외에도 책에 실린 오노 요코의 작품•공연 사진 50여장은 아주 혁신적이었던 그녀의 예술세계를 그대로 드러내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오노 요코와 존 레논의 첫 만남에 대한 두 사람의 말을 들어보자.

“[못 박기 회화]가 인디카 갤러리에서 전시되었을 때, 어떤 사람이 다가와 못을 박아도 되는지 물었습니다. 나는 그가 5실링을 낸다면 못을 그림에 박아도 괜찮다고 했죠. 5실링을 내는 대신에 그는 상상의 못을 박아도 되는지 물었어요. 그가 바로 존 레논입니다. 나는 나와 똑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을 만났다고 생각했습니다.” - 1967년 10월, 오노 요코

“그때가 바로 우리가 진짜로 만난 때였죠. 우리의 눈이 서로에게 멈추었는데, 그녀도 그걸 느끼고, 나도 그걸 느낀 겁니다.” – 존 레논, 벤 퐁 토레스의 책 [A Chronology The Ballad Of John And Yok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