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유혹하는 글쓰기 (특별판)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여름 날 떠나는 피서와 같은 책


서평을 쓰기 전, 부끄럽지만 솔직하게 말한다. 나는 스티븐 킹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다. 관련성을 찾아보면, 그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 <샤이닝>을 매우 좋아한다는 정도다. 그렇다면 왜 이 책을 골랐느냐고? 그가 유명하기 때문이다. 그는 많은 소설을 히트 시킨 스타 작가이다. 그런 작가가 말하는 독자를 유혹하는 창작론이라는데, 소설을 읽어 보지 않아도 검증된 방법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나는 내가 쓴 글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으면 좋겠다. 이런 단순한 계기로부터 읽게 된 책인데, 결과적으로는 너무나 즐겁게 읽었다. 방법론을 이야기하는 책이 지루하지 않고 이렇게 재미 있다니, 과연 이름값을 하는 작가다.


무언가를 잘 하는 요령을 알려 주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다. 사람마다 가진 소질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방법이 통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아무리 열심히 설명해도 듣는 사람이 그 방법을 실천할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내 앞에서는 열심히 고개를 끄덕이며 받아 적더라도 뒤 돌아서서 뭐야, 별거 아니잖아하며 무시해 버릴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리고 자칫하면 거만해 보일 수도 있다. 이런 위험성들을 알고 있는 저자는 직진이라는 방법을 택한다. 우회해서 이야기하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독자에게 말한다. 솔직하고 화끈하다.


인생은 예술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이다.’ 라고 말하며 글을 쓰는 것에 너무나 치중해서 삶을 망치는 것을 경고하면서도, 경박한 마음으로 접근하지 말라고 한다. 진지하게 글쓰기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당장 책을 덮으라는 단호함마저 보인다. 그런 그가 밝히는 비결은 결국 즐거움이다. 뻔하지만 자신이 정말 원해서 쓰는 글이 그의 비결이다. ‘창작이 곧 삶은 아니지만, 그는 행복해지기 위해 글을 쓴다. 독자와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글쓰기의 순수한 즐거움을 느끼며 글을 쓴다.


굳이 촌스러운 비유를 하자면, 여름 휴가 같은 책이다. 지루하고 따분한 정보 전달 목적의 글쓰기 법 강의 책이 아니라, 바닷가에서의 피서와 같이 유쾌하고 시원한 책이다. 그러니 무더운 여름에 불쾌 감정 지수가 상승하고 있다면, 이 책 속으로 휴가를 떠나기를 권해본다. 그리고 장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읽고 쓰기 시작하자. (다만, 우습게도 이 책을 다 읽고도 그의 소설을 읽어볼 생각은 들지 않았다. 대신 영화 <샤이닝>을 다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가득 채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즈음에는 인생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펼치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내가 생각하는 인생은 말이야…” 혹은 내가 살아온 삶은 말이야…” 라는 이야기를 했다가는 꼰대라거나 진지충’, ‘설명충등 재미 없는 사람 취급을 받기 십상이다. 특히 어른들이 자신들이 살아온 삶에 대해 말하는 것은 설교한다고 뒤에서 욕을 듣는다. 하지만 인생을 논하는 것이 그렇게나 기피해야 할 일일까?
 
  저자는 인생에 대해 침묵을 지켜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인생을 말하는 것은 세상에 가장 어려운 일이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인생을 숨김 없이 말해야 한다고 한다. 아무도 삶에 대해, 인생에 대해 논하지 않는 세상을 생각해보라. 너무나 각박한 세상이다. 먼저 길을 떠나온 사람의 표지판이 없다면 다음에 떠나는 사람은 헤매고 만다. 앞서 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는 여행자는 실패하기 마련이다. 우리는 더 지혜롭게 인생의 길을 걸어 나가기 위해서, 그리고 걷다가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날 힘을 얻기 위해서 앞서 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앞서 떠난 사람들은 경험이라는 소중한 열매를 다음 사람에게 전해줘야 한다. 1950년대에 쓰여진 이 수필집은 그러한 따뜻하고 소중한 열매를 담고 있다.
 
  책에서 인상 깊었던 두 부분을 뽑자면, 청년에 대한 충언과 유한과 무한에 대한 이야기다. 먼저 청년에 대한 충언 부분이다.

 청년기란 여러 가지 복잡한 사실과 마음의 변동이 많고 생활의 폭이 넓은 기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마음의 방향, 걷잡을 수 없는 열정이 항상 우리들을 채찍질하고 있어, 한 가지 일에 전 열정과 뜻을 퍼붓지 못하게 되면 우리는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타락과 불건전에 이끌려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
그러므로 젊은 시절은 무엇보다도 근면한 시절로 보내야 하며, 많이 배우고 귀한 것을 얻는 기간으로 삼아야 한다. 상당히 많은 청년들이 별로 대수롭지도 않은 사교, 접대, 회합 같은 일을 배우는데 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좋지 못하다. 우리들이 하고 있는 일 중에는 때가 오면 저절로 알아지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 그런 무가치하고 대단치 않은 일 때문에 긴 시간을 보낼 필요는 없다. 그것보다는 건전한 지식, 일생에 도움이 될 만한 독서, 필요한 외국어 같은 것을 배우며 자기의 것으로 삼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청년들은 언제나 생활의 폭이 넓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정신적 위치가 극단에서 극단으로 옮겨지는 경우가 많다.
...
이렇게 성자에서 타락한 인간 사이를 몇 번이나 왕래하는지 모른다.
...
그렇기 때문에 청년기는 극단에서 극단까지라는 마음의 위치와 본성을 미리 알아 조심하는 편이 좋다. 어제 아침에는 성자가 되고 오늘 저녁에는 악마를 자처하는가 하면, 정의에 생명을 던지면서도 악에 즐거운 웃음을 보낼 수 있는 것이 젊은이의 특징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안정과 무한한 능력의 청년기는 곧 지나간다.

  1950년대에 쓴 그의 ‘청년’에 대한 고찰은 2017년을 살아가는 나에게 그대로 적용된다. 매일 걷잡을 수 없는 열정과 불안함에 시달리며 극단에서 극단을 왕래한다. 어제 단단히 결심한 것이 오늘 바뀌고 그런 나의 변덕스러움을 한탄하며 또 좌절한다. 이러한 불안정함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때로는 힘겹고 지친다. 저자는 한 발 앞서서 인생을 산 사람으로서 그러한 청년기는 곧 지나간다고 충고한다.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이런 충고를 받은 사람이 ‘아, 그렇습니까? 역시 시간이 약이군요. 감사합니다.’ 하면서 감동받지 않을 것을 잘 안다. 저자도 청년들의 반응을 예상한다. ‘아니, 당장 해결되느냐, 안 되느냐 하는 문제인데 기다리기는 어떻게 기다리라는 거야’라고 불만을 제기할 것을 알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것은 단순히 시간을 믿고 기다리라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요동치는 자신을 반성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무엇보다도 근면하게 보낼 것을 충언한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 아니냐고? 그렇다. 하지만 당연한 것을 하고 있지 않으니 노력을 기울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인상 깊었던 부분은 유한과 무한에 관한 이야기이다.

내가 살고 있다는 것이 어떻게 생각해보면 아무 일도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수많은 사람들이 무의미하게 왔다가 가는 것같이, 나도 주어진 환경 속에서 얼마의 시간을 살다가 죽으면 그뿐 아닌가. (중략) 생각해보면 인간이란 무의미한 것이며, 우연한 존재의 찌꺼기 같기도 하다.
그러나 생각을 돌이켜본다면, 내가 지금 여기에 살고 있다는 사실만큼 귀하고 절대적인 일도 없다. 내가 있으니 저 푸른 하늘, 넓은 대지가 의미가 있고 존재의 가치가 있는 것이지, 만일 내가 사라진다면 무엇이 남겠는가. (후략)
이와 같이 절대적인 가치와 의의를 가지려 하는 것이 인간이며, 인생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인간적 존재의 의의는 언제나 나타나고 있다. 우리의 작은 의식이 광대한 우주가 차지하고 있는 모든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의 지극히 작은 정신은 이 세계가 소유하는 것보다도 더 깊은 문제를 간직하고 있다. 파스칼이 “우주는 나를 생각할 수 없어도 나는 우주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우주보다도 위대하다”고 한 말이 바로 그 뜻이다.
그렇다면 어떤 면에서 인간 존재의 특수성을 찾아볼 수 있을까?
첫째로 인간은 언제나 유한과 무한의 접촉선상에 살고 있다. 보다 솔직히 고백한다면, 인간은 언제나 유한의 울타리 속에 살면서 항상 무한을 기대한다. (중략) 유한에 머물면서 무한을 얻고 소유하려 하는 데 모든 고통과 불행, 그러면서도 향상과 가치가 인정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간은 시간 속에 살면서 영원을 그리워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후략)
오늘의 대표적인 실존주의자들이 말하듯이 인간은 무에서 와서 유를 잡으려 애쓰다가 무로 돌아가는 결정적인 운명 밑에 놓여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한, 우리의 삶이 영위되고 있는 한, 우리는 확실히 유이다. 무시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존재이다. 그러나 온 곳이 무인 것처럼 가는 곳 또한 무라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무에서 유로 향하는 처음 과정을 우리는 ‘생’이라 불렀다. 이 세상에 내가 탄생한다는 것은 이 모든 것의 출발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는 마침내 무로 끝나게 마련이며, 우리는 생존에서 무로 가는 과정을 죽음이라 부른다. 누구에게나 인생은 무로 향하는 과정이다. (후략)

  나는 인간은 갈대와 같다라고 한 파스칼의 생각에 크게 공감한다. 그만큼 한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나의 연약함과 불완전함을 자주 느낀다. 바람에 나부끼는 갈대와 같이 이리저리 휘둘리고, 누군가와 함께 하지 않으면 살아가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말한다. 자신의 연약함을 알고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의 위대한 점이라고. 자신이 가진 모순을 아는 것이 호기심과 탐구의 시작점이다. 그래서 인생이 무로 향하는 과정임을 당당하게 밝히면서 무로 과는 그 과정에서 어떤 자세를 취할 것인지 촉구하는 저자의 글은 의미가 있다. 이 책이 단순히 한 때에 유행하는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서 사랑 받는 이유는 이러한 인간의 생에 대한 깊은 고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느꼈다.
 
  미리 경고하자면 처음 책을 펴면 조금은 실망할 수 있다. 마치 캠퍼스에서 가장 낡은 강의실에 앉아서 원로 교수님의 강의를 듣는 기분이 들 것이다. 그러나 노()교수님의 강의는 조급하면 안 된다.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어느새 빠져 들고, 그 정수는 뒤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단순히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에 대해 논하는 책 같지만, 유한과 무한, 신앙, 마지막에는 연애와 사랑까지 범위를 넓힌다. 이런 주제 하나하나를 생각하는 저자의 사고에 공감하기도 하고 놀라기도 하고, 비판하기도 하다 보면 어느 새 마지막 장을 덮게 된다. 어렵지만 친근하게 읽히는 책, 깊지만 따스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