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29
알레산드로 보파 지음, 이승수 옮김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토끼와 거북이, 브레멘 음악대 이후로 이런 우화는 처음이다. 총 스무 편의 짧은 소설들 속에 스무 마리의 비스코비츠가 앉아 있다. 그들은 그들이 속한 동물 사회에서 최고의 엘리트이다. 여왕벌의 신랑이 되는 비스코비츠, 전갈 세계의 대왕이 되는 비스코비츠 등 재력과 권력을 겸비한 그들이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하나같이 리우바라는 사랑하는 여자친구가 있다. 그들은 사랑조차도 소홀하게 하지 않는다. 사랑하는 리우바를 위해 마음을 다 바치며, 심지어는 사마귀 비스코비츠처럼 목숨까지 바치기도 한다. 가장 열심히 가장 알찬 인생을 사는 그들이지만, 우리는 소설의 결말에서 허탈한 웃음을 짓지 않을 수 없다. 아니, 가장 완벽한 생을 산 그들이기에 그들의 생의 종지부가 더욱 허탈하게 느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동물이 사람처럼 생각을 한다. 책장을 넘기면서 수십 번이나 이 이야기가 현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물고기나 해조류, 곤충들은 사람처럼 뇌가 아니라 다른 어떠한 특정 부위로 사고를 할 지도 모른다. 그렇게 전제를 하고 나니 더욱 현실성있게 이야기 하나 하나가 내게 녹아든다. 솔직히 조금 무섭기도 했다. 아니, 많이 두려워졌다.
스무 마리의 비스코비츠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참으로 강력하다. 자신의 삶에서 최선을 다한 그들이다. 그리고 그 최선만큼의 결실을 이뤄낸 그들이다. 하지만 그들의 비참한 말로는 참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한 번 더 생각해보면, 아이러니라고 생각할 것도 없다. 그들의 -동물의-이야기를 우리는 사람의 언어로 풀어내었으며, 사람의 관점으로 보고 있다. 비스코비츠들의 비참함과 비참하지 않음의 기준은 사람이 결정하며, 그들의 삶의 완성도 역시도 사람의 기준으로 결정이 되었다. 재력과 권력, 능력을 겸비한 비스코비츠들은 사람들에게 훌륭해 보일지라도 그들이 속한 동물세계에서도 같은 훌륭함으로 표현될 수 있을까. 왜 제목에서 넌 동물이야라며 비스코비츠들의 정체를 다시금 확인시켰는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열 글자의 묘한 타이틀은 사람과 동물의 경계선을 선명하게 그어놓는다.
하지만, 여기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 소설을 읽은 나를 비롯한 독자들은 비스코비츠들과 리우라들에게 한없이 조롱당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정하는 완벽함의 기준이 진정으로 옳은 것인가에 대해 다시 재고할 기회를 주기 위해 그들은 비스코비츠를 만들어 낸 것이 아닐까? 다양한 비스코비츠들이 안고 있는 고뇌나 문제들도 곰곰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안고 있는 그것들과 다르지 않다. 비스코비츠들이 꿈을 이루거나 목표를 달성하고, 정상에서 최고의 기쁨을 누리지만 결론은 한결같다. 그리고, 그들이 맞이한 결론이 우리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주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표지의 앵무새가 한없이 여유로워 보이고, 걱정없어 보이는 것은 왜일까? 앵무새가 고개를 돌린 전화기라는 인간의 문명이 한없이 초라해보이는 것은 내가 이 책에 빠져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성공의 기쁨이나 큰 행운을 얻었다고 생각하게 될 때마다 나는 비스코비츠를 떠올리게 될지도 모른다. 그게 당연할 것이다. 적어도 비스코비츠같은 비참한 느낌의 엔딩은 아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때의 성공이나 쾌락이 삶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