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였을까? 바보라는 단어가 부정적으로 들리지 않게 된 것은. 무지한 사람을 의미하는 바보에서 요즘은 하나밖에 모르는 순진한 사람을 의미하는 바보로 바뀐 듯 하다. 대중가요 등에서 '사랑밖에 모르는 바보'라는 등의 말은 종종 들어왔지만, 이 책의 제목은 더욱 새롭다. <책만 보는 바보>. 지성의 샘터라고 할 수 있는 책이 바보를 만들었다. 제목에 걸맞게 초반부에는 가난한 삶 속에서 허기조차도 책으로 달래는 한 사람의 생활을 엿볼 수 있었다. 학창시절, 책을 베개삼아 잠을 자곤 했었다. 책만 보는 바보 이덕무는 더했다. 얇은 이불 위에 두꺼운 책을 쭉 덮어 이불을 고정시켜 보온력을 더하거나, 책으로 벽을 쌓아 문틈으로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다. 할 수 있는 것이 책읽기 뿐이었던 그. 책읽기로 배고픔과 가난도 승화시키던 그는 제목대로 진정한 책만 보는 바보였다. 하지만, 그런 바보에게 책으로 인해 쌓여가는 내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덕무가 참으로 부러웠던 한가지 점은 책을 읽는 그에게 분신과도 같은 친구들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함께 책을 읽고 읽은 책에 대해 서로의 이야기를 논하고, 대화를 통해 형성된 공감들이 더욱 굳게 다져져 쉽사리 끊어지지 않는 끈끈한 우정이 되었다는 점이 너무나도 부러웠다.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으면 너그러워지고 여유로워진다고 한다. 필시 그런 책이 주는 순화력이 그들의 인연을 더욱 견고하게 다지는 역할을 했으리라.

 

 책만 보는 바보는 바보에서 끝나지 않았다. 그는 임금의 부름으로 규장각의 검서관으로 임명된다. 책만 보던 바보에게 쌓인 내공이 드디어 세상애 한껏 펼쳐지는 순간이었다. '빛을 보지 않아도 좋다. 버려진 물건처럼 이리저리 구르던 우리들의 삶도 이제 쓰일 데가 있다는 것이 감격스럽기만 했다.(p.210) 그의 이런 지나치다 싶은 겸손마저도 책만 보던 바보스러운 것이었다. 무언가 바라지 않았지만, 자신을 꾸준히 갈고 닦은 결과는 딱 그 노력만큼의 대가를 주고 있었다. 결코 순간의 행운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이 일궈낸 결과였다. 한 편의 드라마처럼, 가난 속에서도 묵묵히 책을 읽어갔던 그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오버랩되고 있었다.

 

 책을 읽는 내내 기분좋은 봄 햇살을 받으며 푹신한 베개에 몸을 기대어 책을 읽는 나른한 기분이 들었다. 그런 나른함 속에서도 이 책은 굉장한 지적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었다. 읽고 나서 '아, 그렇구나.'라는 수용의 기분보다, 그의 지적 욕구에 놀라면서도 내 자신을 조금 더 채찍질하게 되었다. 어느 누구나 그럴 것이다. 단지 읽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가 더욱 필요하다고. 하지만, 흔히 그 '무언가'라는 것을 외적 요소에서 찾아내려 안간힘을 쓴다. 책을 읽고 우리가 얻게 되는 그 '무언가'는 바로 정확한 대명사는 존재하지 않지만, 필시 우리 내면 속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이덕무의 삶은 담백했다. '책'을 평생 벗삼아 한 길을 걸었으며, 자신이 얻은 바를 가능한 많이 다시 내뿜으려 노력했다. 그의 친구들도 그랬다. 유득공, 박제가, 박지원 등 국사 교과서 한 켠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실학 사상가들이 내는 목소리의 뒤에는 '책'이 있었다. 그들은 더 이상 책만 보는 바보들이 아니었다. 책만 보는 바보로부터의 소소한 시작이 한 나라를 흔드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주위를 둘러보자. 지금 주위에 어떤 책이 있는가. 그 책이 나와 만나 일으키게 될 효과를 꿈꿔본다. 한 권으로 안 된다면 백 권이라도 읽어내리라. 그렇게 나는 300여 년 전의 그를 동경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