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宇 집宙 - 지상의 집 한 채, 삶을 품고 우주와 통하다
서윤영 지음 / 궁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이라고 하면, 참 쉽고 일상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데

'건축'이라고 하면 뭔가 전문가적인 냄새가 솔솔~ 풍긴다.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그리고 여차하면 건축이라는 전문가적 영역으로 흐르고 말 듯한 내용을

'집'이라는 일상의 공간으로 사뿐히 내려 앉혀 쉽게 쓰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이는 책.

집의 기원에서부터 출발하여 각 시대의 주거 양식 변화를 일부 다루고 이후로 온돌이나 방, 마당, 부엌 등

주거 공간을 하나씩 나누어 서술하고 그 사이에 가신(家神)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사이사이 각 시대에 따른 수도 경영과 정비, 가대제한 등의 금제에 관한 것도 일부 실어 두었다.

그러나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역사적 변화와 특징, 세부 공간에 이르기까지

그 모두를 담고자 한 욕심 때문인지 전체적인 책의 구성 자체가  독자를 다소 혼란스럽게 만든다.

각각의 장에서 보이는 서술 방식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조선의 유교적 이념 체계가 당대 주거에 미친 영향을 소개하다가 갑자기 아파트 이야기로 넘어가고,

비슷한 시기 서양의 모습으로 연결되는 등, 논지의 일관성이 흔들리는 모습을 여러 차례 목격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비슷한 시기 동서양의 모습을 대비함으로써 문화적, 역사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배려하려는 의도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그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다 보면 일관성이 없는 서술 때문에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

일부 장에서는 조선을 남존여비가 아닌 남녀유별의 사회라고 강변했다가,

그 다음 어느 장에서는 남존여비 사회라고 단정짓고

그러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이러이러한 주거 형태가 정착되었다고

주장하는 맥락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이유는

전문적인 용어를 쉽게 풀이하면서 집과 주거 양식,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생생활의 단면을 담고자 애쓴 흔적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건축물(혹은 집)이라는 물질적 대상뿐만 아니라

그것을 만들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면모와 당대의 사회적인 이념의 영향까지

담아내려 한 지은이의 의도와 노력을 고스란히 읽을 수 있다.

그 부분에 있어서만큼은 독자들로 하여금 만족감을 갖게 하기에 충분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