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을 통해서 나는 절망과 희망은 늘 가까이에 있다는 것, 넘어져서 주저앉기보다는 차라리 다시 일어나 걷는 것이 편하다는 것을 배웠다. -p, 20
영국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은 말했단다. “사랑하고 잃는 것이 사랑을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It is better to
have loved and lost than not to have loved at all)” 라고.
이렇게 사랑은 버리고 버림받고 만나고 헤어지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거대한 흐름인가 보다. 때로는 사랑에 상처받고 다시는
사랑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해 보지만 어림도 없는 일, 어느덧 다시 그 흐름에 휩쓸린다. -p, 46
‘내일’과 같이 짧은 시간 후에 다시 볼 수 있다면 헤어지는 마음이 덜 아쉽겠지요. 삶과 죽음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영겁
속에서 하루는, 1년은, 아니 한 사람의 생애는 너무나 짧은데, 그럼에도 우리는 먼저 이 세상을 떠나는 사람들에게 “내일 봐요”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인지요. -p, 51
중요한 것은 믿음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곳의 삶을 마무리하고 떠날 때 그들은 우리에게 믿음을 주는 것입니다.
자기들이 못 다한 사랑을 해주리라는 믿음, 진실하고 용기 있는 삶을 살아주리라는 믿음,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 주리라는 믿음, 우리도
그들의 뒤를 따를 때까지 이곳에서의 귀중한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으리라는 믿음―그리고 그
믿음에 걸맞게 살아가는 것은 아직 이곳에 남아 있는 우리들의 몫입니다. -p, 52
마크 트웨인의 말이 적힌 카드가 눈에 띄었다. ‘오늘 일어날 수 없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오늘’이라는 시간의 무한한 가능성―갑자기 하늘에서 돈벼락을 맞을 수도 있고, 떠나간 애인이 “내가 잘못했어”하고 다시
돌아올 수도 있고, 드디어 한반도가 통일되었다는 저녁 뉴스가 나올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무심히 길을 가다 고층 건물에서 떨어지는 벽돌에 맞을
수도 있고, 아무리 믿기지 않아도 눈앞엥서 110층짜리 고층 건물이 삽시간에 무너질 수도 있고, ‘암’은 남의 이야기라는 듯, 잘난 척하며 살던
장영희가 어느 날 갑자기 암에 걸려 죽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p, 59
최선을 다해 성실하게 살면 헛되지 않으리라는 믿음을 갖고, 늘 반반의
가능성으로 다가오는 오늘이라는 시간을 열심히 살아간다. -p, 61
미국 소설가 앰브로즈 비어스는 ‘입은 남자에게는 영혼으로 들어가는 문이요, 여자에게는 마음이 나오는 문이다’라고 했다.
-p, 93
나는 가만히 누워 하염없이 천장 벽지를 보면서 시간을 보내거나 책을 보다 졸거나 창밖을 보고 몽상에 잠기며 시간을
낭비해도 별로 죄의식이 느껴지지 않는다. 아니, 죄의식은커녕 제발 그런 시간이 오기를 고대한다. -p, 107
어디선가 읽은 이야기인데, 사람이면 누구나 다 메고 다니는 운명자루가 있고, 그 속에는 저마다 각기 똑같은 수의 검은
돌과 흰 돌이 들어 있다더구나. 검은 돌은 불운, 흰 돌은 행운을 상징하는데 우리가 살아가는 일은 이 돌들을 하나씩 꺼내는 과정이란다. 그래서
삶은 어떤 때는 예기치 못한 불운에 좌절하여 넘어지고, 또 어떤 때는 크든 작든 행운을 맞이하여 힘을 얻고 다시 일어서는 작은 드라마의
연속이라는 것이다. 아마 너는 네 운명자루에서 검은 돌을 몇 개 먼저 꺼낸 모양이다. 그러니 이제부터는 남보다 더 큰 네 몫의 행복이 분명히
너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p, 115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것은 그 내용물이라는 것이다. 명품 핸드백에도 시시한 잡동사니가 가득 들었을 수 있고 비닐봉지에도 금덩어리가 담겨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런 말을 해봤자 사람들, 특히 젊은 사람들에게 이상한 궤변 말라고 욕이나 먹겠지만, 내가 살아 보니까 그렇다는 말이다.
-p, 119
내가 살아 보니 남들의 가치 기준에 따라 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를 남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시간
낭비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내 가치를 깎아 내리는 것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 줄 알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결국 중요하지 않은 것을
위해 진짜 중요한 것을 희생하고, 내 인생을 잘게 조각내어 조금씩 도랑에 집어넣는 일이기 때문이다. -p, 120
소중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1분이 걸리고 그와 사귀는 것은 한 시간이 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은 하루가 걸리지만,
그를 잊어버리는 것은 일생이 걸린다는 말이 있다. 그러니 남의 마음속에 좋은 기억으로 남는
것만큼 보장된 투자는 없다. -p, 121
괜찮아―난 지금도 이 말을 들으면 괜히 가슴이 찡해진다. 2002년 월드컵 4강에서 독일에게 졌을 때 관중들은 선수들을
향해 외쳤다.
“괜찮아! 괜찮아!”
혼자 남아 문제를 풀다가 결국 골든벨을 울리지 못해도 친구들이 얼싸안고 말해 준다.
“괜찮아! 괜찮아!”
‘그만하면 참 잘했다’고 용기를 복돋아 주는 말, ‘너라면 뭐든지 다 눈감아 주겠다’는 용서의 말, ‘무슨 일이 있어도
나는 네 편이니 넌 절대 외롭지 않다’는 격려의 말, ‘지금은 아파도 슬퍼하지 말라’는 나눔의 말, 그리고 마음으로 일으켜 주는 부축의 말,
괜찮아. -p, 132
뼈만 추리면 산다―성품이 온화한 어머니에게 어울리지 않는 과격한 말씀이다 싶어 슬며시 웃음이 났지만 얼핏 그것이 어머니의
삶의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운명이 뒤통수를 쳐서 살을 다 깎아 먹고 뼈만 남는다 해도 울지 마라, 기본만 있으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살이
아프다고 징징거리는 시간에 차라리 뼈나 제대로 추려라. 그게 살 길이다. -p, 141
영작문을 가르칠 때 나는 미국의 유명한 수필가인 E. B. 화이트의 말을 인용한다.
그는 글을 잘 쓰는 비결에 대해 ‘인류나 인간(Man)에 대해 쓰지 말고 한 사람(man)에 대해 쓰는 것’이라고 했다.
즉 거창하고 추상적인 이론이나 일반론은 설득력이 없고, 각 개인이 삶에서 겪는 드라마나 애환에 대해 쓸 때에만 독자들의 동감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p, 156
창가의 나무는 계절의 순환에 따라 사는 순명을 가르친다. 봄에는 소생의 기쁨을, 여름에는 성장의 보람과 생명력을,
가을에는 희생과 성숙을 그리고 겨울에는 인내와 기다림을 가르친다. -p, 161
셰익스피어는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말한다.
“이름이란 무엇일까? 우리가 ‘장미’라고 부르는 것은 그 어떤 이름으로라도 여전히 향기로울 것을.”
맞다. 향기 없는 이름이 아니라 향기 없는 사람이
문제다. -p, 187
어떤 여자가 중병에 걸려 한동안 무의식 상태에 빠져 있었다. 이 세상과 저세상의 경계선을 방황하고 있는데 갑자기 몸이
위로 붕 뜨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딱히 설명할 수 없지만 그녀는 자신이 하느님 앞에 서있다고 확신했다. 모습은 보이지 않고 어디선가
근엄하면서도 온화한 목소리만 들렸다.
“너는 누구냐?”
“저는 쿠퍼 부인입니다. 시장의 안사람이지요.”
“네 남편이 누구냐고 묻지 않았다.”
목소리가 다시 엄숙한 어조로 말했다.
“너는 누구냐?”
“저는 제니와 피터의 어미입니다.”
“네가 누구의 어미냐고 묻지 않았다. 너는 누구냐?”
“저는 선생입니다. 초등학교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너의 직업이 무어냐고 묻지 않았다. 너는 누구냐?”
목소리와 여자는 묻고 대답하기를 계속했다. 그러나 여자가 무슨 말을 하든지 목소리의 주인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목소리가
다시 물었다.
“너는 누구냐?”
다시 여자가 대답했다.
“저는 기독교인입니다.”
“네 종교가 무언지 묻지 않았다. 너는 누구냐?”
“저는 매일 교회에 다녔고 남편을 잘 내조했고, 열심히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나는 네가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았다. 네가 누구인지 물었다.”
결국 여자는 시험에 실패한 모양이었다. 다시 이 세상으로 보내졌기 때문이다. 병이 나은 다음 그녀의 삶은 많이 달라졌다.
-p, 194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제일 하고 싶은 일은? 내가 죽기 전에 꼭 이루고 싶은 것은? 지금 내가 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나는 이 모든 질문에 선뜻 대답할 말이 없다. 그렇다면 지금 나의 삶에 만족하는가? 그것조차 모르겠다. 그런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아이러니컬한 것은, 나는 이제껏 나만 보고 살았는데, 열심히 나를
지키고, 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나만을 보살피며 살았는데, 그러니까 이 세상에서 나를 제일 잘 아는 사람은 나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p,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