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안톤 라이저 대산세계문학총서 17
칼 필립 모리츠 지음, 장희권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괴테가 동시대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 독일어권 문학사상 최초의 ‘심리소설’. 전기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작가가 심리소설이라 지칭했듯이 주인공의 내면의 추이에 따라 전개된다. 이 소설은 유년에서 청년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성인의 시점에서 그려내고 있다. 성인의 시점이라 해도 겪은 일에 대해서는 고스란히 겪는 그 시점에 있고 그에 대한 논평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그러한 논평이 주는 이점은 혼란기를 성숙하게 극복한 사람의 혜안으로 지난 시간을 들여다본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부당한 시간들이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인데, 때로는 이미 그 시대에 현대적인 관점과 맞닥뜨리게도 된다. 물론 시대적인 한계와 더불어 모리츠 개인사에 머물러 시대와 사회 전체를 파악하지 못한 구석이 없지 않지만, 이 글만으로도 이미 의미는 충분하다고 본다.

  보통의 교양소설이나 성장소설과는 다른 매력이 이 책에는 있다. 그것이 시간, 공간을 뛰어넘어 오늘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도 전달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사회로부터 받는 멸시와 냉대는 오히려 자신을 답답할 정도로 얽매는 장치가 되고 있는데, 무관심 속에 방치된, 자신을 보호할 방법이 없는 개인으로서 겪는 일들이 심리의 밑바닥에까지 기술되고 있다. 이러한 심정을 느껴보지 못한 개인으로서는 이해되지 않을 상황들이지만, 그 상황이 개인에게 되돌아올 때는 분명 또 다른 의미가 된다. 그런 점에서 느끼게 해 주는 상황과 그러한 상황에 느낄 수 있는 개인이라는 것이 그리 나쁘지만은 않은 듯싶다. 오히려 그러한 상황에서 상처받은 영혼은 더욱더 고귀한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간본성의 희망이 잠재해 있는 것은 아닐지. 세상 앞에 주눅 들고, 손에 든 칼이 세상이 아니라 자신을 향해 있기에 상처를 입는 것은 결국 자신이고, 그로 인해 겪게 되는 심리학적인 절차까지도 이미 감당할 수 있는 자의 몫인 것이다. 자폐, 분열, 감정의 과잉, 상처, 일상생활의 특이성 들까지도. 상처를 두려워하기보다 그것 자체를 받아들여 속속들이 느껴보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세상을 그러한 방식으로 들여다보는 것도 그것들이 내재해 있을 때만 그런 것이다. 상처가 훑고 지나간 자리에 무슨 꽃이 피어날 것인지는 훗날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희망은 이미 내재해 있다.

  왜곡된 상황이라고 할 수도 있는 일상생활 전반에서 추구하는 것조차 그 파장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성인의 시각에서 다룬 글이니만큼 이미 성장하여 그러한 상황들을 극복한 모리츠 자신의 성공을 배경으로 읽어본다면, 안톤의 희망이자 꿈인 연극과 부차적으로 선택한 공부의 길이 어떤 식으로든 안톤 자신에게 자양분이 되었을 거란 생각을 한다. 그것이 실패를 했든, 어른이 되어서도 여전히 좇고 있든 글이 끝나는 지점에서 느껴지는 비관적인 뉘앙스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희망의 메시지를 발견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오히려 안톤 라이저의 이야기가 그쯤에서 마무리된 것은 안톤의 삶이 이미 독자에게 넘어가 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닐까. 안톤이 되어 나머지 삶을 산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번에는 작가가 묻고 있는 듯, 18세기의 여백은 오늘날에도 상상의 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  

☆ 칼 필립 모리츠(Karl Philipp Moritz 1756∼1793) 
 

  독일 북부의 소도시 하멜른의 궁핍한 소시민 가정에서 태어나 모자 제조 기술을 익히는 견습생 생활을 하다가 배움에 대한 남다른 애착과 재능을 주위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 가까스로 에어푸르트 대학과 비텐베르크 대학을 다니며 신학을 전공하고 몇몇 학교의 교사로 일하게 되었다. 1786년 이탈리아 여행길에 작가 괴테를 만나 2년간 교류하였으며 독일로 돌아와서는 1789년 바이마르 공국의 칼 아우구스트 공의 중재로 베를린 대학의 문학이론 및 고전문헌학 담당 교수가 되었다. 1792년 크리스티아네 프리데리케 마츠도르프와 결혼하였으나 반년도 못 가 파경을 맞았으며 수년간에 걸친 폐결핵으로 몸이 극도로 쇠약해졌다. 1793년 크리스티아네와 재결합했으나 1793년 6월 26일, 불과 37세도 못 채우고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