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도서관에서 길을 묻다 선생님들의 이유 있는 도서관 여행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지음 / 우리교육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학교 도서관은 가난한 아이든 부자 아이든, 공부를 잘 하는 아이든 못하는 아이든, 친구에게 인기가 있는 아이든 없는 아이든, 모두를 똑같이 보듬어 줄 수 있는 곳이다. 도서관에서 하는 수업은 아이들과 교사 모두를 수업의 주체로 내세워 수업 내용을 스스로 발견하고 만들며 ‘고기 잡는 법’을 배우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 책의 저자 중 한 사람인 어느 선생님의 말씀에 무척 공감이 간다.

 요즘 우리 교육에서 독서 교육은 무척 강조되고 있다. 독서를 많이 한 아동일수록 성적이 더 뛰어나고 자기주도적 학습력도 더 강하다는 것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독서 교육의 출발점은 바로 도서관이다. 요즘 학교 도서관은 학부모와 교육청 모두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예전보다 많은 지원으로 현대화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학교 도서관의 실정은 많이 열악하다. 학교 도서관 뿐만 아니라 지역 도서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 도서관에 사서 교사가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 도서관 업무 담당자와 학부모의 도움을 받아 꾸려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역 도서관은 울산 지역만 해도 인구가 백 만명이지만 겨우 구마다 하나씩 4개 정도이다. 그나마 대학 도서관에서 지역 주민들을 위해 개방하고 있지만 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책은 이러한 열악한 우리 나라 도서관 실정에 비해 유럽의 도서관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선생님들이 직접 유럽의 여러 나라 도서관을 방문한 내용을 쓴 것이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국립 도서관과 지역 도서관을 탐방한 내용은 여러모로 우리와 많이 비교가 되었다.

 유럽의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려주고 반납 받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 주민의 삶과 같이 호흡하고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다. 사서들은 모두 자기가 맡은 업무의 전문가였으며 자부심도 대단하였다. 도서관을 방문한 사람이 어떤 주제에 대해 책을 찾길 원하면 거기에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찾아주고 조언을 해 주었다.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우리 나라 사서와 비교가 되는 점이다.

 우리 나라는 한국 전쟁 이후, 빠른 시간 내에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아직 도서관에 미진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그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듯이 우리에게는 도서관을 향한 열정이 있다.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미진한 부분이 있지만, 도서관을 향한 사서들과 우리 교사들의 뜨거운 열정이 있기에 우리 나라 도서관도 언젠가는 유럽의 도서관과 같이 우리 생활 속에서 살아 숨 쉬는 공간이 되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