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3
존 보인 지음, 정회성 옮김 / 비룡소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은 뒤 밤잠을 설쳤다.

두근거리고 방망이질 치는 마음을 쉽게 가눌 수가 없어 새벽녘까지 브루노와 쉬미엘의 환영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 같다.

유태인의 대학살을 다룬 많은 책과 영화를 예전에도 접했지만,

가슴 구석구석 이렇게까지 아픔이 많이 남는 이유가 무엇일까?

 

우선 이제껏 봐왔던 대부분의 작품들은 피해자인 유태인이나 그들을 바라보는 제3의 객관자가 대부분 화자인 경우가 많았다.

한데 이 작품은 가해자인 나치군 장교의 천진난만한 아홉 살 아들의 시각에서 인류의 비극사인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그려낸 점이 신선한 충격과 아픔을 더해 준다.

 

베를린의 고급 주택에서 가정부 마리안이 자신이 보물처럼 아끼는 물건들을 상자 속에 넣으며 이삿짐을 꾸리자, "내 물건이니까 건드리지 마세요!"하고 당돌하게 말하던 개구쟁이 브루노를 처음 만났을 때만 해도 앞으로의 얘기가 어떻게 전개될 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다.

이야기가 흘러 가는 상당 부분까지도 막연히 유태인 학살과 관련된 내용이겠거니 생각하며,

순진한 아홉 살 아이의 이사 후 적응기에 귀여움이 느껴져 히죽거리며 웃기까지 했다. 

중반이 훨씬 넘어서면서 차츰 브루노가 그렇게 존경하는 아빠가 수용소의 총사령관이라는 사실과 '퓨리'로 불리는 인물이 히틀러라는 것, 그리고 브루노가 계속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자신이 이사간 곳을 '아우비츠'로 발음했던 곳이 '아우슈비츠'수용소라는 실체가 드러나면서 나의 오감이 서서히 긴장되기 시작했다.

결국 브루노와 가족들이 새로운 곳으로 이사하게 되면서 겪는 그 모든 혼란과 낯선 상황들을 유발한 아버지의 승진이란 게 그런 거였어~라는 생각이 드니, 몸서리가 쳐졌다.

 

물론 이야기 속 브루노,,,, 아홉 살 남자 아이 브루노는,,,,

내가 이 모든 상황을 알고는 손에 땀을 쥐고 잔뜩 긴장해서 책을 읽는 동안에도,

계속 그 모든 일들에 대해 전혀 눈치를 채지 못하는 호기심 많은 개구쟁이 남자 아이로 여전히 남아 있었다.

오히려  브루노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특별한 만남이 즐거운 생활의 일상이 되어 그를 점점 기쁘게 할 뿐....

 

탐험 놀이를 즐기던 브루노가 집 주변에 쳐진 철조망 너머에 앉아있는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쉬미엘을 발견하고 스스럼없이 친구가 되어 가는 과정은 가해자인 독일 나치의 아이와 피해자인 유태인 아이의 마주침이라는 역사적 비극이 숨어 있음에도 그저 따뜻하고 아름답고 가슴 찡하다.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있음에도 어른들의 전쟁에 대해 어떤 말도 하지 않고, 오로지 아홉 살 자신들의 꿈과 삶에 대해서만 이야기 나누면서 서로 공감대와 우정을 쌓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철조망 건너편의 쉬미엘이 자신의 아버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걱정하자 탐험하기 좋아하는 브루노는 친구의 아버지를 함께 찾아주기 위해 줄무늬 파자마를 입고 철조망 안으로 들어간다.

브루노가 머리에 줄무늬 모자를 쓰고 줄무늬 파자마를 입었을 때,,,,

쉬미엘은 눈을 깜박거리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든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브루노는 철조망 안에 사는 자신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브루노는 철조망 밖에서 생활하고, 쉬미엘 자신은 안에서 생활해야 할까?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은 곧 '브루노이면서 쉬미엘'이란 상징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아버지를 찾아 헤매다가 호루라기 소리와 함께 뜻모를 행진 대열에 끼어 밀폐된 방으로 들어갈 때까지도 두 소년은 "네 아빠를 찾아 주지 못해 미안해.", "오늘 제대로 놀지 못한 게 아쉽다."라며  두 손을 맞잡고 서로를 위로한다.

나의 숨이 턱~하고 목줄기 끝까지 치밀어 올라 눈이 빨개질 때쯤,,,

사람들로 꽉 찬 출입문이 쾅하고 닫히며 암흑같은 어둠 속에서 사람들의 비명소리가 아우성을 친다.

그 후로,,,브루노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헉,,,,,,,,ㅠㅠ

 

반전이 있을 줄 알았다.

어린 아이들이라, 이렇게 예쁘고 착한 우정을 가진 아이들이라 뭔가 따뜻한 결말을 기대했다.

충격으로 턱까지 치밀고 올라온 숨을 잠시 쉴 수 없었다.

잠 자고 있는 내 아이들의 얼굴이 겹쳐지면서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두 소년이 전쟁의 대학살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도 나에게 찐한 눈물을 솟구치게 했던 것처럼,

어떤 말로도 홀로코스트를 들먹일 수가 없다.

그저 이런 가슴아픈 우정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 -_-;;

 

이젠 줄무늬만 봐도 가슴이 아파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