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교과서 과학 3-1 - 2007
개념교과서 집필위원회 지음 / 아울북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개념교과서가 왜 좋을까?

1학기 동안 개념 교과서를  찬찬히 훑어보면서도 느낀 것이지만, 시중의 일반 문제집과는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

 

첫째, 하나의 개념을 설명하더라도 교과와 연계된 여러가지 종합적 이미지를 잘 이용한다.

아이들은 '무엇은 무엇이다'라는 정의보다는, 시각적으로 구분되거나 분류된 것을 더 잘 기억한다.

그런 면에서 개념교과서는 만화는 물론이거니와 한 문제가 한 쪽을 다 차지할 만큼 많은 이미지들(그림, 도표, 선 등)을 활용하고 있어서

아이들이 이미지로 쉽게 기억을 떠올릴 수 있게 해 준다.

 

둘째, 62명이라는 많은 현직의 선생님들이 직접 참여해서 만들었다는 것에 신뢰감이 간다.

한 두 명도 아니고,,,여러 학교의 일선에서 아이들과 부딪히면서 직접 느낀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한 보따리씩 풀어 놓은 것 같다.

아이들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이고,

어떤 것을 강조해서 기초를 다져야 하며,

이제껏 다루지 못했지만 참신하게 접근시켜 주고 싶었던 것들을 과감하게 제시했다고나 할까....후후~~

그래서 새롭고 신선하고 알차다.

 

셋째, 정말 책상 뿐만 아니라 어디서든 편안히 볼 수 있고,

혼자가 아니라 여러 명이 같이 이야기 나누며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도 있고, 

문제를 다 풀고 나서도 재활용으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책처럼 본 것을 또 펼쳐 볼 수 있다.

실제로, 초3인 우리 딸의 담임 선생님도 개념교과서 4권을 다 가지고 계시는데,

교실 뒤 책꽂이에 꽂아주시면서 "만화도 재밌고, 문제도 재밌으니까 보고 싶은 사람은 보세요!"라고 말했단다.

일반 문제집과는 달리 아이들이 즐겨 보는 도서 사이에 꽂아 두신 걸 보면

같은 선생님들이 참여해서 만든 것이라서 그렇기도 했겠지만, 책처럼 편안하게 보기에도 무리가 없겠기에 권하신 것이 아닐까 싶다.

정자세로 책상에 엉덩이 딱 붙이고 앉아서 풀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누워서 볼 수도, 엎드려 볼 수도, 잠자리에서도, 식탁에서도, 가족끼리도, 친구들과도.......

아이들이 부담없이 책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 개념교과서의 가장 큰 매력이다.^^

 

'어른스런 공부를 위한 자양분'으로서 독서와 개념위주의 학습을 해야한다는 이범 선생님의 강연을 며칠 전에 듣고 난 뒤라 그런지,

개념교과서에 대한 믿음이 더욱 확고해지는 것 같다.

2학기 교재의 출시가 임박했다는 말을 듣는 순간,,,,'사 줘야겠다'는 생각이 순간적으로 머리 속에 드는 걸 보면.....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