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이 되기 전에 꼭 읽어야 할 만화 국어 교과서 1 - 맞춤법 되기 전에 시리즈 4
고흥준 지음, 마정원 그림, 정호성 감수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평소 글을 쓸 때나 책을 읽을 때 나도 모르게 맞춤법을 눈여겨 보는 편이다.

물론  헷갈리는 경우가 가끔씩 있기에, 국어 사전이나 대학교 때 보던 국어 어문 규정집을 들춰 보기도 한다.

심지어 문학책이나 동화책을 읽다가도 맞춤법이 어긋난 낱말이 발견되면, 그 때부턴 계속 틀린 글자가 눈에 띄어서 책의 스토리가 잘 읽혀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책의 내용이 틀린 글자 때문에 눈에 거슬렸다고 하니, 누군가는 그렇게까지 맞춤법을 따져가며 꼭 읽어야 하느냐며 성격 까칠한 사람으로 보는 것 같기도 했다.ㅎㅎㅎ

 

그런 나에게 이 책은 아이들에게 올바른 맞춤법을 안내해 줄 반가운 책이자,

알면 알수록 어렵고 까다로운 국어를 그나마 쉽고 재미있게 이끌어줄 바람직한 책이란 생각이 강하게 든 책이다.

결코 만화책이라 해서 내용이 얕지 않으며,

아니 얕다고 보면 큰코 다칠 정도로 많은 내용과 세세한 맞춤법 규정까지 언급되고 있음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때까지 수많은 만화들이 그 영역을 넓히며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교과와 관련한 학습만화를 많이 선보였지만, 맞춤법에 관해서만큼은 접근을 쉽게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간 경험이 있는 학부모라면,

1학년 처음 받아쓰기를 보게 되면서부터 알쏭달쏭한 낱말이나 띄어쓰기 때문에  아이와 함께 헷갈려 한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받아쓰기의 한 예로,

복수 표준어가 인정되는 단어임에도 학교에서 내어주는 받아쓰기 프린트에 제시된 문장이 '깨트리다'라면, '깨뜨리다'라고 쓴 아이는 틀리게 된다.

'~뜨리다/~트리다'가 모두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이 있는 데도 말이다.

띄어쓰기 역시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띄어쓰기는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하는 규정이 있음을 선생님들은 무시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도 그것을 아이에게 명쾌하게 설명해 줄 참고 도서가 없기에 선생님의 채점을 그저 받아들이라고 할 뿐이다.

 

조금 전(일요일 오후 EBS) 장학퀴즈에서 이영도의 시를 읽어주면서 시의 한 구절 속에 들어갈 낱말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아이들 아빠가 큰소리로 "아지랭이~~~"라고 의기양양하게 답을 외치자,

며칠 동안 계속해서 이 책을 읽으며 내공을 쌓아 온 두 아이가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아빠, 아지랭이가 아니라 아지랑이에요."하고 더 크게 외친다.

물론 정답은 '아지랑이'였다.

놀란 아빠가 "우와~ 아빠보다 너희들이 더 잘 아네. 어떻게 알았지?"라고 하자,

초1 아들 녀석 하는 말이 "아지랑이가 헷갈리면 호랭이가 아니라 호랑이라는 걸 생각해 보세요!"라며

'ㅣ'역행동화에 대해 만화로 풀어놓은 부분의 예를 아빠에게 설명해 주는 게 아닌가? 허허~~~

 

'중학생이 되기 전에 꼭 읽어야 할'이라는 수식어가 제목 앞에 붙어 있지만,

'초등학생 입학 때부터 꼭 알아야 할'이라고 바꾸어도 전혀 손색이 없을 책이란 생각이 퍼뜩 든 순간이었다.^^

 

더구나 이 책을 한층 돋보이게 해 주는 건,

생활 속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단어들과 표현을 억지스럽게 끄집어 내서 가르치려고 하지 않고,

꼬주 아저씨와 영원이, 판다와 주변 인물 등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찾아낸다는 것이다.

비현실적인 캐릭터와 다소 자극적이고 과장된 스토리로 학습 만화임에도 선뜻 아이들에게 권하기를 꺼려한 부모들이라면,,,

아마 학교 내 왕따 문제나 가족 문제, 독거 노인 문제, 사회 문제 등을 골고루 다루며 아이들에게 보통 사람들의 삶도 생각해 보도록 절묘하게 구성한 이 책의 내용에 감탄하게 될 것이다.

 

그동안 다소 소홀히 여겼던 우리 맞춤법과 국어에 대해 앞으로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시리즈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하니 그저 반가울 따름이다.

혹시,,,뒷이야기는 꼬주 아저씨와 영원이 엄마의 못다 이루었던 안타까운 사랑이 마침내 이루어진다는 내용도 담기지 않을까? 후후~~

벌써 두 번째 시리즈의 내용을 상상해 보는 재미에 빠져든다.*^^*

 

*맞춤법과 관련된 책임에도 수정이 필요한 부분*

-70쪽 : '불다'를 활용한 예의 세번째 '불(다)+니=붑니다'---> '불(다)+ㅂ니다=붑니다'

-71쪽 : 노는(X) 내가 '노는'놀이터---> 놀는(X) 내가 '노는'놀이터

-91쪽 : 틀리기 쉬운 우리 몸의 명칭 중 갈비뼈에 대한 두 사람의 만화 말 풍선 '갈비뼈'가 아닌 이유는?---> '갈빗뼈'가 아닌 이유는?

-123쪽 : 그리고 아저씨! '어리버리' 말은 틀렸다고요.--->'어리버리'라는 말은

-155쪽 : 그건 그냥 먹어라.---> 이건 그냥 먹어라. (아저씨의 손에 들고 있는 상황이므로)

-212쪽 : 제목 1.관형사는 뒤말과 띄어 써요! ---> 1. 관형사는 뒷말(또는 뒤 말)과 띄어 써요!

-222쪽 : 맞 다마다 ---> 맞다마다

-253쪽 : 허섭쓰레기 ---> 허섭스레기 (본문에서 강조한 말인데도 잘못 쓴 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