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 나의 고전 읽기 6
김은주 지음, 이해정 그림, 르네 데카르트 원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철학책답지 않은 자서전처럼 쓰였다는 점.

그것에서부터 매력을 느껴보도록 읽는 방향을 제시해 준 책이다.

 

우리가 흔히 중,고등학교 도덕시간에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던

그 유명한 철학자들이 한 두번씩은 다 언급이 되고 있다.

책 속에서 만난 데카르트를

단지 근엄하고 뭔가 다른 존재로만 막연히 여겨왔다면,

그런 선입관을 조금은 털어내고 오래 묵은 관념의 문을 열게 해 준다는 느낌이

전반적으로 들었다고나 할까? ㅎㅎㅎ

 

데카르트의 어떤 사상이, 어떤 생각이 그렇게 수많은 지식인들에게 격렬한 논쟁의 꺼리를 제공해 주었을지가 가장 궁금했다.

작가 김은주는 그런 면에서 나와 같은 생각을 했는지,

고전인 '방법서설'을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이라고 자기 식대로 읽기를 권하는 듯해서 마음이 한결 편했다.

하지만,,,역시 고전은 그 묘미가 곱씹음에 있음인지,

촉박하게 정해진 시간 동안 급하게 읽기엔 깊은 맛을 쉽게 느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사실 이 책이 청소년 도서로 고전을 새롭게 현대적 의미를 되살려 전해주고자 애쓴 흔적들이 역력함에도, 과연 얼마나 많은 청소년들이 두 번 이상 읽어서 참된 의미를 되새길지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나의 얕은 지식과 이해력은 데카르트가 염려했듯이,

이미 경험과 감각만을 중시했던 중세 사람들처럼 정보를 기계적으로 받아들이고 사고하는 것에 너무 익숙해져 버려서 그런 게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다.

이런 것만 보아도 어쩜 데카르트는 나같이 우매한 사람을 꿰뚫어 보는 투시안을 가진 위대한 철학자였음이 분명한 것 같은데.......

'생각하는 내가 새로운 세상을 열어젖힌다'는 그의 말대로 그는 근대라는 또 다른 세계의 문을 열고 '근대문학의 아버지'로 당당히 불리고 있으니,그는 그의 신념대로 뜻을 이룬 현자인 듯하다.ㅎㅎㅎ

 

그가 말한 여러 사상과 명언들이 지금까지 되풀이되어 더 쉽고 이해하기 쉬운 말로 현대의 청소년들에게 읽히고 비판받고 입에 오르내리는 걸 보면,

그가 말한 '나는 생각한다. 아무도 나 대신 생각해 주지 않는다.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말도 작가의 에필로그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에게 던져 주는 교훈임을 동감하지 않을 수 없다.

 

내 정신의 내공이 아직도 부실한 탓인지,

이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지 머리 속이 어지럽다.

그저,,,나의 얄팍한 지식이 연역이니, 귀납이니 하는 데카르트의 여러 사유들과 고급 정보들을 제대로 읽어서 소화시킬 수 있길 바랄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