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미토콘드리아를 고생시켜서 이로운 결과를 낳는비결은 체내의 에너지 필요량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우선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운동이다. 특히 고강도 운동이다. 둘째, 몸을추위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를테면 겨울에 수영을 하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가 외부의 시련에 대응할 때 보이는 호르메시스 반응 중 하나는 이른바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mitochondrial biogenesis‘이다.
미토콘드리아가 분열하면서 더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생성하는 것을가리킨다. 이는 이로운 현상이다. 세포의 능력을 강화하고 노화에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미토콘드리아 손실을 보상해 주기 때문이다. - P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