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텃밭에서 찾은 보약 - 한의사 딸과 엄마가
권해진.김미옥 지음, 장순일 일러스트 / 책이라는신화 / 2024년 4월
평점 :
건강에세이 한의사 딸과 엄마가 텃밭에서 찾은 보약
권해진, 김미옥 지음 / 책이라는신화

보약이 한의원에만 있나요?
한의사 딸, 엄마와 함께 오늘도 보약 지으러 텃밭에 갑니다!
<한의사 딸과 엄마가 텃밭에서 찾은 보약>
건강에 신경쓰게 되면서 직접 재배해 먹는 텃밭농사에 관심이 가서 읽게 된 책이다.
제철음식이 몸에 좋다는 건 다들 아는 상식이지만 지금껏 제철과일만 먹어봤을 뿐, 특히나 채소는 원체 잘 안먹었기에 제철채소에 대한 책은 처음이었다.
안그래도 최근에 텃밭농사 비슷한 책을 읽었는데,
이 책은 달마다 제철채소를 하나씩 소개해주는데 한의사가 지은 책이라 동의보감에 나온 채소의 효능을 알 수 있고,
텃밭에 심을 때부터 수확할 때까지의 과정 역시 알 수 있다는 것!
추가로 달마다의 제철채소로 만드는 엄마의 손맛 레시피 한페이지가 더해지는데~
한페이지에 들어갈 정도로 간단한 방법의 레시피라 요알못도 따라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한의사로 15년째 파주 교하에서 한의원을 운영하는 딸 권해진과 10년 이상 텃밭 농사를 지은 도시농부이자 텃밭 요리 연구가 엄마 김미옥이 펴낸 책으로,
<한의신문>에 연재했던 글들을 모아 책으로 낸 것이라고 한다.
그 때는 텃밭 사진이며 요리 사진이 들어갔었는데 이 책에서는 식물 세밀화 작가 장순일의 그림이 더해졌다고 한다.
계절별 텃밭 그림은 시골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기분이다. 사진보다 그림을 넣은 게 개인적으로 더 예쁘다고 느껴졌다.

"몸이 찬 사람과 열 많은 사람이 지어 먹어야 할 작물은 따로 있습니다."
사실 이 문장에 끌렸었는데, 아무래도 몸이 찬 편이라 따뜻한 채소를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따뜻한 것과 찬 것이 나뉘어서 소개되나 싶었는데 그건 아니었고~달마다 채소를 소개할 때
따뜻한 성질인지 찬지, 그래서 어떤 상태에선 안맞는지를 알려준다.
책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다시, 봄으로 이어지며 달마다 1개의 제철 채소를 소개하기에
총 15개의 제철채소를 알 수 있다. 돼지감자, 쑥, 부추, 완두, 자소엽, 옥수수, 도라지, 땅콩, 생강, 늙은 호박, 팥, 당귀, 냉이, 두릅, 민들레.
그리고 계절별 챕터마다 마지막에 들어간 '우리집 텃밭 이야기'란 코너에서 또 다른 제철 작물들 3가지를 더해 알려준다.
마지막엔 봄에 텃밭 가꾸는지를 순서대로 알려주며 마지막 부록 '사계절 텃밭 일지'에선 책에 나온 15개의 텃밭 일지를 예시로 보여주는데~
언제 심고 수확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일년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5월엔 모종을 심어야 한다!
아무래도 5월이니 5월의 부추가 가장 눈에 들어왔다. 간 기능을 돌보는 부추. 내게 필요한 따뜻한 성질이다.
'아시정구지는 맏사위도 안 준다고 하는 기다' 겨울을 버틴 부추가 그렇게 좋은건지 처음 알았네~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맵고 약간 시며 독이 없다. 심으로 들어간다.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위열을 없애며, 허약한 것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며, 흉비를 없앤다.'
이렇게 동의보감에 나온 채소의 효능을 알 수 있으며 종류가 여럿인 것의 차이점도 짚어주고, 음식의 궁합이며 채소의 다른 부위에 효능이 있으면 어떻게 쓰이는지까지 알 수 있다. 부추는 찬 성질의 돼지고기와 궁합이 좋다능~
무엇보다 언제 심고 수확하는지도 함께 알 수 있어서 좋았는데, 부추는 자라는 게 더디다하니 개인적으로 패스;
따뜻한 부추는 찬 성질의 오이와도 궁합이 좋다며 부추오이김치 레시피를 알려주는데 너무 간단해서 맘에 든다!


방광염에 좋은 옥수수에선 먹는 방법 꿀팁을 알 수 있었다. '익히지 않은 옥수수를 오래 보관하게 되면 당 성분이 점차 전분으로 변하면서 딱딱해지고 당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수확하면 최대한 빨리 삶아 먹어야 합니다.'
감기를 낫게 하는 생강에선 토종 종자와 외국 종자와의 차이를 말하며 그래서 어느 종자로 생강꿀이나 생강조청을 만들어야 하는지도 알 수 있다.
먹거리용 텃밭은 재미가 없다며 눈으로도 즐길 수 있는 텃밭을 일군다는 말도 와닿았다. 민입보다 눈이 더 즐거워진다는 당귀꽃이 너무 궁금해진다.
쑥이나 생강을 누가 서리해 갔다는 슬픈 에피소드도 있고, 시부모님이 보내주시던 작물과의 에피소드, 할머니가 해주던 떡 등이 더해지면서
단순한 채소 이야기가 아니라 가족의 정과 사랑 그리고 건강이 엮어진다. 내새끼 내 가족 건강하길 바라는 마음은 누구나 같을 수 밖에. 직접 텃밭에서 지은 채소를 딸네 식구와 함께 먹으려는 엄마의 노력과 사랑. 음식이 보약이니 직접 재배해 먹는 채소는 특급 보약이겠지.
책을 읽고 나면 소화를 돕는 늙은 호박, 관절염 완화엔 두릅처럼, 어디에 좋은 채소인지와 더불어 이 계절엔 이 채소를 먹어야지란 생각이 든다.
-화학영양제 한 움큼보다는 견과류 한 움큼 드시기를 더 권장합니다.
영양제를 먹기보다 자연이 주는 영양제를 챙겨먹어야겠다.
저자처럼 직접 텃밭농사를 짓진 못해도 책을 읽는 자체로 즐겁고 지식이며 도움이 된다. 먹는 것이 곧 자신이란 말처럼, 인스턴트 음식이 아닌 제철 채소로 자신을 대접하고 가족과도 함께 나누면 좋을 것 같다.
*텃밭 제철 채소 효능이 궁금하거나 채소레시피가 궁금한 분들, 따뜻한 건강에세이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추천!
#텃밭에서찾은보약 #권해진 #김미옥 #책이라는신화 #건강에세이
#북유럽 #텃밭보약 #제철채소 #한의사딸과엄마가텃밭에서찾은보약 #채소레시피
#텃밭채소레시피 #제철채소효능 #텃밭가꾸는방법 #도시농부 #에세이신간 #에세이추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