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 같은 출판 시장속에 생수 같은 책한권!
사자개
양쯔쥔 지음, 이성희 옮김 / 황금여우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자개>,처음 이 책을 접했을때 뭐 이렇게 무식하게 두꺼운 책이 다 있어?라며 생각했다. 들고 다니면서 읽기에는 좀 부담되는 두께와 무게, 하지만 장소를 이리저리 옮기면서 읽는 나는 들고 다니면서 읽을 수 밖에 없었다. 1kg의 압박 하지만 읽는 내내 주인공 깡르썬거에게 푹 빠져 버렸다. 누군가가 사자개가 뭐야?라고 하면 음..티베트의 전통개인데 우리나라의 진도개 정도라고 생각하면 돼 하고 말했다. 하지만 진도개라고 하기에는 전투적 기질을 발휘한다. 이 개에게 있어서 삶이란 먹고 자는 것이 아니라 충성과 의리에 가깝다. 사람이 이 보다 못한 사람이 많으니 개만도 못한 것 아닐까?

 처음 발단은 물론 사자개 전쟁으로 부터 온다. 하지만 이 소설의 발단은 땅콩으로 시작한다. 아버지가 나눠준 땅콩을 샹아마초원의 일곱아이들은 천국의 과일로 생각하고 그를 따라온다 물론 그 들을 따르는 깡르썬거와 함께 시제구에 도착해서 처음으로 싸움이 일어난다 샹아마사람들에게 두 아버지를 잃은 아이(빠어추쭈)가 선동을 하여서 샹아마의 사자개와 시제구의 사자개는 싸움을 하게 된다. 첫 싸움이 패배로 돌아가 깡르썬거는 심한 부상을 입고 시제구의 아름다운사자개 나르도 부상을 입는다 모든 생명에는 귀천이 없다는 아버지는 메이둬라무의 도움을 받아 두 사자개를 치료한다. 사람들 사이에서 깡르썬거는 설산사자로 불리우고 아버지는 신으로 칭해졌다.두 무리간의 두번째 전투가 일어났다. 이 전투에서 이기면 양한마리씩 주어서 샹아마의 초원으로 돌려보내고 질경우는 아이들의 한손목을 자른다고 정했다. 하지만 지고 말았다. 아버지는 그것을 볼 수 없어서 짱짜시에게 도망치도록 도와달라고 했고 아이들은 도망갔지만 짱짜시는 도와준 죄로 양손을 짤리게 생겼다. 계속되는 추격과 도망속에서 이대로 있으면 안되겠다 싶어 아버지는 마이 정치위원을 불러왔고 다른 방안을 모색했다. 시제구 사람들은 깡르썬거가 사자개 대왕을 이긴다면 설산사자로 인정하고 그 사자개를 데리고온 샹아마아이들도 신의 손님이라 생각하고 손을 짜르지 않겠다고 했다.결국은 깡르썬거의 승리로 평정되었지만 송귀인 다츠가 키우는 댱샹나찰(역시 사자개)에게 잡혀서 위험을 맞이한다. 후에는 당샹나찰또한 깡르썬거에게 져서 죽게생겼지만 아버지가 치료를 도와준다. 결국은 두마을에 평화가 찾아왔다.

 사자개와 인간의 관계는 그냥 충성스런 신하와 군주의 관계에서 벗어나 있다. 티베트의 사람들은 착한 사람을 개같다고 칭하고 약은 사람은 늑대같다고 칭한다고 한다. 이제는 전설이 되어가는 사자개의 이야기를 작가는 다시한번 책에서 부활하고 싶었던 것 같다. 사자개들의 본능은 사람을 해치는데 있지 아니하고 사람을 살리는데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한번 입은 은혜는 반드시 갚아야 하고 자신이 인정한 주인의 명령 불복종은 자살에 이른다. 내가 정말 이처럼 행동할 수 있을까?해봤지만 대답할 수 없다. 심성은 곧고 곧은 우리의 선비를 보는 듯하고 행동은 충실한 신하같기도 하고 때론 친구가 되어주는 사자개, 부락생활을 하는 티베트의 사람들에게는 절실한 동물이였던 것 같다. 자신만을 위해 싸우지 않고 죽더라도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생각을 하면서 죽어가는 사자개 아낌 받을 만하다.

 사자개 전쟁으로 샹아마초원의 사람과 시제구의 사람들은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깡르썬거로 인해서 사자개는 평정이 되고 사람들은 아버지를 통해서 평화가 이루어진다. 싸움은 복수를 낳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다. 평화를 얻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잊어버려서는 절대로 안된다. 싸움이 복수를 낳는다면 끝이 없는 싸움만 계속될 뿐이다. 아버지는 그것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였다. 아이들의 손목을 자른다면 이대로 끝이 된다고 생각하냐고 그건 복수의 복수를 낳는 것이다. 사자개 전쟁과는 무관한 아이들일 뿐이다. 두 아버지를 잃은 빠어추쭈도 복수심을 버리고 메이둬라무를 사랑하게 된다. 사랑만이 힘이다. 그것이 싸움을 종결시킨다. 읽을 수록 흥미를 유발시키는 책이다. 처음은 두껍고 지루할 수 있지만 책을 내려놓으면서 미소를 짓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