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행록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2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아주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다른 일로 엮인 다른 사람한테는 상종도 못할 사람이었던 경우, 정확히는 그런 평을 듣게 되는 일, 아주 흔하다. 어떤 사람은 나를 두고 그런 말들을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나는 보통 당황한다. 우선 스스로의 판단력에 대한 의문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그 사람이 그런 일을?? 내가 본 그 사람은 절대 그럴 사람이 아니었는데.. 내가 사람을 잘 못보는 걸까??
사람에 대한 부정확한 판단은 여러가지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연애 상대를 잘못 고르면, 시간, 감정 때로는 돈도 잃는다. 부적절한 상대와 개인적인 의견을 공유하면, 쉽게 말해 뒷담화를 하면, 하루아침에 신뢰와 사회적 평판을 잃을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람에 대한 판단이 잘못되는 것, 그래서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대상자의 예상치 못한 면을 보여주는 이야기는 매력과 공포를 함께 갖는다. 내 생각이 뒤집히는 전복의 순간과 마치 어떤 사람의 진짜에 다가가는 듯한 관음증적 매력과 현실에서 발생했을 때의 공포가 겹쳐진다.
우행록은 그런 내밀한 감정에 집중하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포함한 일가 4명이 살해당했다. 엘리트인 남편과 아름다운 아내, 귀여운 아이들. 이야기는 그들의 이웃, 친구, 동료, 전여자친구 등 생전에 그들을 알던 사람들의 인터뷰 식으로 진행된다. 그 이야기에서 남편은 예의바른 이웃에서 소심하지만 의외의 야비함을 가진 동료, 목표를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던 남자로 변모한다. 아내는 아름답고 고상한 부인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가 조금 부족한 이웃, 더 나아가서는 자신은 우아함의 가면을 절묘하게 유지하면서도 다른 사람은 교묘하게 능멸하는 치졸한 면을 드러낸다.
그러나 읽어나갈수록 판단 오류의 공포만이 아닌 더 본원적인 공포를 느낄 수 있다. 읽으면서 남편 혹은 아내가 행한 야비함은 내가 본 누군가 혹은 내가 한 어떤 일을 떠올리게 한다. "내 이익을 위해서 이 정도야, 불법도 아니고" 혹은 "이런 행동은 당연한 거 아냐 이 정도도 못 챙기는 게 바보지" 라고 생각한 나의 야비함을 날 것 그대로 면전에 들이댄 느낌이다. 우리는 우리가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혹은 그런 명분으로 얼마나 많은 비열한 짓을 하며 살아가는 걸까. 진정 섬뜩한 일이 아닐까.
일본 추리소설의 흔한 단점으로 발상과 몰입도에 비해 뒷마무리가 깔끔하거나 개운한 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