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창해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의 <백야행>을 읽고 충격을 먹은 적이 있다. 너무너무너무 재밌어서... 그런데 히가시노 게이고는 추리소설만을 쓰는 작가는 아닌 것 같다. 주제가가 너무 좋았던 <비밀>도 그렇고, 이 책도 그렇고.. 처음엔 추리소설인줄 알고 집어들었다가 약간 의아해하기도 했지만.

그동안 많은 화제거리와 연구와 소설의 대상이 되어왔던 뇌. 그러나 그 신비는 아직까지도 풀리지 않았고 우리는 많은 부분을 의문으로 가진 채 여전히 뇌로 인해 살고 있을 뿐이다. 뇌에 대해서 연구한다는 건 참 어렵다. 생각하고 말하고 듣고 쓰는 모든 것 자체가 뇌로 인해 일어나는 활동이기 때문에 그 자체를 연구한다는 건 어찌보면 아이러니하기도 하다. 스스로의 주체성이 없는 팔이나 다리같은 부위라면 몰라도...

그러나 사람이 죽었더라도 그의 일부분이 다른 사람의 몸안에 숨쉬고 있다면 그는 살아있는 것일까. 정말 장기이식을 받은 사람이 도너의 가족들과 만났을 때 무언가, 말로 할 수 없는 직감을 느낀다는 말도 있듯이.. 아직은 도대체 해답을 할 수 없는 주제일 뿐이다.

이렇게 제 3자의 입장에서 말하면 담담히 더 연구해봐야 알지 뭐 따위로 말할 수 있지만, 실제로 내 주위의 사람이 죽어서 그의 일부분이 다른 사람에게 이식된다면? 그는 살아있는걸까? 눈이 이식되었다면 그 눈은 나를 알아볼까? 심장이 이식되었다면 그 심장은 날 보면 더욱 더 빠르게 고동칠까? 특히나 이 소설처럼 뇌 같은 중요한 부위라면 더더욱... 아무래도 그런 상황이라면 내가 아는 사람의 눈을 가지고 있는 그 사람은 원랜 생판 모르는 남이었다 해도 예전의 내가 알던 사람의 일부분을 가지고 있는, 같이 공존하며 살아 숨쉬고 있는 사람으로 받아들이게 되지 않을까.

분명히 자기 자신이 존재하는데도 이식된 뇌의 일부분의 주인의 의식에 침투당해 사라져가는 주인공의 운명은 정말 가혹하기 그지없다. 나라면 정말 차라리 그 상황에서 죽기를 바랬을 것이다. 살아도 살아있는게 아닐테니... 우리에게 영혼이란 신체 어느 한 부분에 숨어있는 건 아닐것이다. 모든 것에, 생명이 있고 피가 통하는 모든 것에 스며들어있겠지. 그렇다면 장기이식을 하면 영혼의 일부도 같이 떼어주는 것일까... 두렵고 어려운 문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