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춤
조정래 지음 / 문학의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사실 책을 굉장히 좋아한다고 생각하지만(요즘은 과거형으로 바꿔야 마땅하지만)

명작을 많이 읽었다고 말할 순 없다.

물론 고전과 명작이라고 소문난 책들만 읽는다고 해서 그 사람이 진정한 독서가요, 

재미와 흥미로 판타지나 무협지에 빠져있다고 해서 책을 아니읽느니 못한 사람이 되는건 절대 아니다.

사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이 퇴마록이기도 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판타지,무협,만화류 경시풍조때문에, 퇴마록 같은 엄청난 작품이 그저 베스트셀러로 그쳤다는게 안타까울 따름이다. 내가 보기엔 시대와 나라만 잘 타고 났다면 해리포터를 능가하는 전세계적인 작품이 될 수 있는데.ㅠㅠ

암튼 내가 왜 처음 그런 얘기를 꺼냈느냐,

한국소설의 대가이자 거장인 조정래 작가의 한강-태백산맥-아리랑(순서가 맞나?!)을 여태 읽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정래 작가의 작품을 이 <허수아비춤>으로 드디어 처음 접했다.

번역된 책들을 읽어오다가, 오랜만에 한국어로 된 '제대로 된' 글을 읽으니 

정말 글자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가 아름답게 비단결처럼 수놓아져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단지 수려한 미사여구를 갖다붙여서가 아니다. 흔히 쓰지 않지만 우리 민족의 정서가 듬뿍 들어있는 온전한 우리 말들, 고유어들, 또는 흔한말들을 어쩜 그렇게 아름답고 품격있게 그러면서도 자연스럽게 표현했는지. 괜히 거장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박완서의 소설집 <환각의 나비>를 읽으면서도 그런 생각이 들었었는데.

게다가 이런 격동의 시대에, 진정 작가로서 가야할 길, 관심가져야 할 주제에 누구보다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찰하고 그것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반발을 내딛은 그의 자세가 너무나 존경스럽고 멋졌다. 

신문기사나 뉴스로 보면 딱딱하기만 하고 그게 그말인 것 같은 지금 대한민국의 현실도, 

소설에서 등장하는 현실적인 인물들과 함께 읽어나가니 무엇보다도 흥미롭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딱딱한 교과서를 읽는 것보다 때로는 이런 좋은 소설을 읽는 것이 오히려 더 역사를 정확하게 알고 내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원초적인 흥미를 이끌어내는것이라고 생각한다. 

재벌가의 세태, 그들이 어둠속에서 돈다발로 조작하는 대한민국의 뒷면. 거기에 모두 얼키고설키어 놀아나는 정치,행정,사법, 모든것들, 불의에 익숙해져버린 시민들까지. 너무나 생생하게 담겨있었다.

게다가 이 소설에서는 그 대안까지 속시원하게 주장하고 있다. 경제성장에 걸맞게 경제민주화와 정치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민단체의 활성화와 활동이 가장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국민 개개인이 우선 정치가 바로 우리자신의 현실과 직결되는 것이라는 걸 깨닫고 관심과 흥미와 열의를 가지고 단체를 조직하여 활동에 나서 그들을 견제하는 것이다. 그들에게 아둔하게 당하고서도 두둔하게 되고 무뎌지는 것이 아니라 정정당당히 민주사회를 구성하는 하나의 일원으로서 전면에 나서고 균형을 잡아나가는 것이다. 그래야만 진정한 균형발전, 선진사회가 될 수 있고 바로 지금이 그래야만 하는 시점인데...!!!!

그런데도 지금 뉴스를 보면 아득한 한숨만 나올뿐이다. 오히려 과거로 회귀하는 듯한 작태에...

물론 나 조차 어떠한 활동도 선뜻 하려하고 있지 않지만...

아름다운 한글을 느끼게 해준 수작이라는 점과

그 어떤 충격적인 뉴스보다도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경각심을 일깨워준다는 점

그리고 소설 자체의 흥미로서도 매우 뛰어나다는 점

역시 대가의 소설은 다르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