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와 나 - 2012년 제3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김영하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하 책을 다 읽은건 아니지만, 검은꽃을 읽고나서 한창 빠져있었던 때가 있었다. 그리고 나이가 많으면서도 젊은 사람의 감각도 캐치한다는 느낌이 아니라, 진짜 젊은 시각을 가지고 있는 작가의 말투가 멋져보이고 맘에 들었다. 이번 책도 김영하가 표지에 있어서 바로 집어들어서 읽었다. 정말 오랜만에 있는 한국 소설.. 김영하 특유의 친숙하지만 시니컬한 웃음이 너무 재미났다. 사실 옥수수와 나라는 러시아 전설과... 소설의 결말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잘 이해못하겠다. ㅜㅜ

추천작으로 실린 자연발화 주제의 단편도 너무 쉽게 잼나게 읽혔다. 소설에 나오는대로 핑크플로이드의 Wish You Were Here 이라는 노래를 들으면서 읽었다. 소설에서 묘사하는 대로의 앨범쟈켓은 본 앨범이 아니라 라이브 앨범 재킷이었지만.

당선소감도, 맘에 들어서 수첩에 일부를 옮겨적었다. 작가라는 직업에 대해서. 작가는 글을 쓴다는 행위로 규정되어지는것이 아니라, 쓰고싶다, 써야한다고 생각하는한 작가라는 신분에 있는거라고. 직업이 아니라 신분이라는 말. 

염승숙이라는 소설가가 김영하에 대해 덧붙인 글도 흥미롭게 읽었다. 김영하의 열렬한 팬인 대학동기가 우연히 김영하를 만나 받아온 싸인을 학과 게시판에 붙여놓고, 오며가며 반짝이는 젊은이들의 눈길이 그 이름 석자 위에서 찬란하게 빛난다는 장면을 묘사할 때는 참 부러웠다. 누군가에게 반짝이는 선망을 받을 수 있는 김영하의 위치와 능력도 부럽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배우고 전공으로 삼으면서 같이 그것을 추구하는 동기들과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대한 가슴뛰는 설렘과 동경을 같이 공유할 수 있는 학생들이 또 부러웠다. 염승숙이라는 작가 또한 반응이 좋은 신인 작가로서, 2013년 이상문학상 소설집에도 실렸더라. 요즘 나는 도대체 내가 원하는게 무엇인지,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무언가에 저렇게 눈을 반짝이면서 두근대면서 빠져본 적이 언제인지, 쓸데 없는 것에만, 이루더라도 의미없는 것에만 매달려서 아까운 하루하루를 소비하고 있는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아무튼 여러모로, 의미가 있는 책 읽기였다. 사실 다른 우수상 소설들은 미처 읽지 못했다... 

다음에 마저 도전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