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하는 칼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 또한 최근 들이닥친 일본 소설의 광풍 그 중심에 서있는 인물이다.  

온다 리쿠처럼 다작을 하는 작가인데 그녀는 어느 정도 그녀만의 감수성을 지닌 미스테리라는 장르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반면에 히가시노 게이고는 스릴러를 주로 쓰긴 하지만 과학적인 소재도 자주 사용하고 예상외의 이야기를 꺼내놓는 경우도 꽤 많아서 낯설어 한적도 많다. 어쨌거나 역시 이름만으로 신뢰가 가는 작가 중의 한 명이다.  

하지만 이 <방황하는 칼날>은 너무 머리가 아팠다.  

범죄와 처벌에 관한 사회적인 문제, 즉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 살인마는 가벼운 형을 받고, 순식간에 피붙이를 잃은 피해자 가족의 마음은 억장이 무너지고 아무리 애타게 범인을 원망해봐도 소용없는, 이 어쩔 수 없는 문제는 예전부터 자주 대두되어오던 화제이다. 굳이 살인사건이 아니더라도 강간사건 등 강력범죄의 경우 그들의 파렴치한 범죄에 비하면 너무나 가볍게 느껴지는 최종 선고형을 듣고 비난하고 야유를 보냈던 사람들이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다수일 것이다.  

인터넷의 범람과 사고방식의 변천으로 청소년 범죄가 더욱 만연화되고 극악화된 지금, 청소년범죄의 희생양이 된 피해자와 주변인들은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다가온다. 연쇄살인범 마저도 인권을 보장받아야 된다고 외치고 있는 판이니 가뜩이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만으로 법의 보호를 받고있는 청소년들은 자신이 지른 잔혹한 범죄에서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슬쩍 빠져나와버리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그러한 문제를 다루었는데, 이 소설이 인기를 얻고 화제가 되고 읽은 사람이 늘어날 수록 이 문제에 대한 얘기도 많아질 것이고 공론화되고 많은 토론이 진행된다는 점에선 사회적으로 공헌하겠지만 소설적인 재미에 있어선 영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청소년 범죄의 잔혹함과 피해자의 좌절과 울분을 여실히 보여주기 위해서 강력한 장치를 쓸 수 밖에 없었겠지만, 범죄 내용이나 살해 방법이 너무나 잔인하고 상세히 묘사되어 불쾌감이 느껴졌다. 이보다 더욱 잔인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들이야 많겠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표현력이 너무 뛰어난 탓 때문인지 (-_-) 자기 전에 좀 읽다가 자려고 누워서 보다가 정말 토 쏠릴 뻔했다.  

그리고 경찰과 여론의 반응, 피해자의 심정과 피해자와 범인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 등에 대해 각자의 입장을 잘 나타낸 건 좋았지만 그것이 어떠한 해결방안이나 절충안으로 끌어내지진 않았고 또다시 그 문제를 답습하는 뻔한 내용이 반복되었다. 주인공을 도와주는 펜션 여주인도 물론 아들을 사고로 잃었다는 슬픔과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라는 연대감이 있긴 했지만 그토록이나 위험을 감수하면서 그저 '그렇게 해야될 것만 같아서' 라는 이유로 마치 할리우드 영화의 조연을 보는 듯한(주로 자신의 신념을 어느정도 갖고 있으면서 영웅을 도와주고 멋지게 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공감이 쉽사리 되지 않았다.  

마지막 결말도 좀 황당했고... 추리소설도 아니고 스릴러 소설도 아닌 것이, 어둡고 무거운 사회 문제를 멋지게 제기하다가 새로운 시각이나 해답없이 또다시 어설프게 끝나버리고 마는 느낌이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그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는 되었지만... 결론은 그래서 어쩌자고?  

장황하게 나열되어 책 두께도 상당한 편인데, 이도 저도 아닌 뒤죽박죽인 글을 겨우 읽었다는 느낌이었다. 물론 쉽게 읽히긴 하지만 말이다.  

책 내용 중 동거녀를 순간 격분해 목졸라 죽인 뒤 시체를 방치한 채로 바람핀 상대방과 모텔에서 이틀 동안 지낸 미성년자가 시체를 처리하지 않은 이유는 단순히 '귀찮아서' '집에 가면 시체가 있으므로' 였다는 사실은 정말 충격이었다. 물론 실제 사건이 아니라고 해도 과연 요즘 청소년들의 의식과 상응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무책임감, 귀찮음, 현실도피 등. 아무리 엽기 사건이 많이 일어나는 일본이라지만 정말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