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장화홍련전 재미있다! 우리 고전 5
김별아 지음, 권문희 그림 / 창비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유치원다닐땐 우리 고전을 많이 읽어주었다. 권선징악의 단순한 이야기들이 교훈을 주기 때문에 부모들이 자주 선택하는 장르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작 듣는 아이들은 환상적인 측면을 더 좋아한다. 등장인물도 그렇고 사건의 전개가 그렇다. 요즘 한창인 환타지라고 해야 할까.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난 이후 우리고전은 아이들 관심사에서 많이 벗어난다. 그것은 이야기 자체의 성격때문이라기보다는 분량때문인것같다. 100쪽이 넘는 이야기도 수월하게 한자리에서 독파하는 아이들인데... 그만한 분량의 우리 고전은 없다. 창비에서 나온 이 시리즈가 그런 아이들에게 알맞은것 같다.

얼마전 영화로 제작되어 오히려 영화로 더 친숙할지 모르는 장화와 홍련의 이야기. 영화를 보진않았지만 아이에게 ''이게 영화의 원전이란다.''하고 건네주고 싶다. 스토리텔링에 촛점을 맞춘 듯 전체의 내용을 알기엔 딱 좋다. 아쉬움이 있다면 새로 글쓴이가 후기에서 밝혔듯이 이 이야기에는 당시의 사회상, 각인물들의 각자가 처한 입장 등등 할 얘기가 많다. 그런대도 여러가지 사회문제적 시각이 글에는 얼버무려져 있는 듯하다. 글에는 제대로 살려져 있지 못한것같다. 사건의 전개만 열거되어 있어 다이제스트를 읽은 듯 인물들간의 생생함은 살리지못한것같다. 각자의 입장을 잘 살리면서도 원전을 훼손하지않는 글이 되었으면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로버트 먼치 글, 안토니 루이스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구입한 것은 일간지 서평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책이 오자마자 읽었지만 (전 아이들에게 건네기전에 먼저 '검열'한답니다) 우리아이들이 보지 않는 쪽에다 올려두었습니다. 저자는 부모님의 사랑을 뒤늦게 깨달아 가는 이야기를 들려주며 잔잔한 감동을 전하는 데, 이 책의 분위기는 자못 애잔하여 부모가 된 엄마나 감동을 느끼겠지 아이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되더군요.

아마도 내가 이 책을 우리 아이한테 건네준다면, 그건 '봐라, 이 엄마가 널 얼마나 사랑하는지. 좀 알아줬으면 좋겠다.'하는 심정에서 일것입니다. 또한 엄마의 사랑이 이렇게 중압감을 느끼는 것이어서야 하겠습니까?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책이라면, 특히나 취학전이나 저학년용 책이라면 엄마,아빠의 사랑이 그다지 비감스러울 이유가 없지 않겠어요? 엄마,아빠의 사랑이 포근하고 따사로운 것이라는 느낌이, 아이들에게 더 큰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어야 하지않을까요? 아이들이 나오는 책이라고 다 어린이용 책이 아니지 않을까요? 이 책은 절대적으로 어른용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른이 읽어서 무감동이면 무감동인채로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충치 도깨비 달달이와 콤콤이
안나 러셀만 지음 / 현암사 / 199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입안에 근사한 수영장이 딸린 주택단지가 들어선다니... 이 얼마나 참신하고도 깜찍한 발상인가. 게다가 더욱 훌륭한 건 우리아이에게 딱 먹혀들어 갔다는 거다. 얘야, 수영장 안만들려면...라고만 하면 이를 닦으러 즐겁게 가니까. 엄마입장에서야 굉장히 실용적인 책이다. 혹시나 아이가 이러한 사태에 대해서 두려움이나 혐오스러움을 느끼지나 않을까, 잠시, 걱정되기도 했지만 도깨비 표정이 워낙 재미나게 그려져서, 또 왠만한 요즘 아이들은 영악해서, 그런 걱정은 기우에 지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또 쫓겨난 충치도깨비들의 걱정스런 운명도 낙산해수욕장(스의스에도 동명의 해수욕장이 있나?)의 일광욕으로 처리해 준것에 대해 작가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이런 책은 소아과나 치과에 놓아두고 병원에 오는 어린이들에게 보여주면 아주 효과적이리라. 몇군데 글이 어색하게 보이는 것에도 불구하고 이제 스스로 칫솔질을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보여주고 싶은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검은 섬 땡땡의 모험 24
에르제 지음, 류진현 이영목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남자아이의 엄마로서 아이에게 나타나는 여러 성향가운데 걱정되는 한가지가 만화만 너무 좋아하게 되는 것 아닐까하는거였다. 그래서 예방차원에서 좋은 만화를 보여주면 어떻까 하여 아스테릭스 시리즈에 이어 땡땡을 보여 주었다. 우리아이의 경우 두가지 다 물론 재미있어 했다.

엄마가 보기에, 아스테릭스가 계속해서 몇번이고 들여다보고 싶은 책이라면 땡땡은 스토리 전개도 별 어려움이 없고, 재미있는 설정도 나오고, 앞으로도 계속 여행을 한다니까 여러 나라의 풍물도 나올테니 아이가 보는데 별 무리는 없겠다싶다. 아스테릭스는 책에 가깝고 땡땡은 만화에 가깝다...면, 만화를 사랑하는 분들의 지탄을 받을려나? 특별히 땡땡 책에서 제일 눈에 띄는 대목은 이 책이 출판된 세계 여러나라의 언어를, 특히 처음 들어보는 언어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이다. 베른어나 카탈로니아어라니... 아무튼 아이의 책읽기 정도에 따라 땡땡을 먼저,아스테릭스를 좀더 나중에 읽히는게 좋을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룡학자 이융남 박사의 공룡대탐험
이융남 지음 / 창비 / 200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이 책을 구입하게된 것은 우리 아이가 공룡을 좋아했던 탓도 있었지만 그것보다는 우리나라 공룡학자의 책, 그래서 이런 책은 사줘야돼 하는 애국심의 발로였다.

그러나 정작 이 책을 받아들고는 아이보다도 먼저 그리고 오랫동안 들여다보고있다. 그림도 멋지지만(사실 그림만도 보고 또 보고해서 며칠동안 봤다) 간결하고도 명쾌하게, 질문에 답하는 식으로 써내려간 설명은 쉽고도 내용이 풍부했다. 또한 번역서에서 느끼는 문맥의 꼬임을 없애주어 읽어내려가기가 훨씬 수월하고 속도감마저 느낄 수 있었다.

책의 어떤 부분을 떼어내 읽어도 흥미진진하다. 우리아이가 공원에서 발굴(?)해 왔다던 공룡뼈를 놓고 변온인지 항온동물인지 얘기할때 물론 이 책이 얼마나 날 가슴뿌듯하게 했던지.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아주 오래 전에 지구상에서 사라져 버린 공룡이야기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살아 움직이는 동물들에 대한 많은 과학상식을 얻을 수 있어 기쁘다.

현재 우리시대의 동물백과사전 옆에 나란히 꽂아놓고 수시로 읽어보는 다른 하나의 동물백과사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