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카드 게임
제임스 패터슨 지음, 조은아 옮김 / 북플라자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새로운 카드가 나올 때마다 사람이 죽는다.
카드가 예고하는 다음 피해자는?

예일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강의하는 저명한 교수 딜런에게 형사 엘리자베스가 찾아온다. 피해자 사진을 보여주면서 살인자가 시신 옆에 트럼프 카드 킹을 두고 갔다고 설명한다. 크라임스 잡지사의 그라임스 기자 앞으로 딜런이 쓴 책과 피가 묻은 클러버 킹 카드가 배달되었고, 저자인 딜런의 사진은 칼로 난도질 당했다. 다음 차례는 딜런 당신인 것 같다고 형사는 말한다.
이렇게 주인공은 살인사건에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또다른 살인이 벌어지고 트럼프 카드가 발견되면서 연쇄살인사건에 휘말린다...

추리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탐정이 되어 범인을 추리해본다. 추리라기 보다 추측에 가깝기는 하지만..이 책은 범인을 찾고자 혈안이 되어 읽는 책이 아니다. 딜런의 가정사는 나에게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알려주었고, 새로운 가족 형태가 일반적인 편견 속에서 얼마나 힘들게 꾸려 나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줬다.

10대 시절에는 전혀 느끼지 못했지만, 30대가 넘어가면서부터 알게 된 사회의 진실(?)은 그다지 유쾌하지 않았다. 내가 잘못이 없다면 절대 벌을 받지 않을 거라는 생각은 환상이었고,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나는 유죄일 수도 무죄일 수도 있다는 말도 안 되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책에서도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어야 하는 법률이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변호사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충분히 빠져나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꼬집으면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가속력이 좋은 책은 아니다. 중간중간 생각에 빠져 흐름이 끊겼다. 추리소설은 한 흐름에 읽혀야 좋다고 생각했는데, 편견이 깨졌다.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책은 다양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더워지고 있다. 여름이 오고 있다. 벌써 개장한 해수욕장도 있단다.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살인 카드 게임>으로 올 여름을 시원하게 나고 싶다.

p.13
진정한 천재는 자신이 아무것도 모름을 인정하는 사람이다.(아인슈타인)

p.33
항상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당당히 맞서 싸우라고 말이야.

p.145
배고픔은 인간을 집중하게 하지

p.162
인간의 행동이 맥락에 따라 변한다는 거예요. 상황의 변화는 종종 행동을 바꿉니다. 살인하지 말라, 맞는 말이죠? 하지만 자기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나 전쟁 상황, 그리고 아직 존폐논쟁 중인 사형제도 등에서는 예외예요. 바꿔 말하면 우리는 상황에 따라 거의 모든 행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어요. 따라서 어떤 상황이 특정 행동을 정당화한다고 대다수가 믿는다면, 그건 정상 행동이 될 수도 있는 거예요. 뒤집어 말하면, 이상 행동은 그렇지 않을 때겠죠. 그렇다면 어떤 행동만으로 행동이 일어나기까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까요? 행동 그 자체만으로 상황을 추리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요?

p.236
수십 년간 신문사들은 ‘무죄‘라는 단어 대신 ‘결백‘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어요. 법적 의미의 차이를 몰라서가 아니라, 오자에 의한 참사를 두려워했기 때문이에요. (...) 기자나 편집자, 또는 인쇄업자가 ‘무죄‘라는 단어에서 ‘무‘자를 빠뜨리면 순식간에 멀쩡한 사람을 죄인으로 만들 수 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