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의 거장들 - 인물로 읽는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호모사피엔스
제리 무어 지음, 김우영 옮김 / 한길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류학의 거장들 >
: 인물로 읽는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제리 무어 / 한길사 -

근래에 읽은 책 중 가장 어렵게 읽었다.
내용이 어렵다기보다는 일회성적인 책에 익숙해진 탓이다.
이 책은 인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해 쓰여지고 편집되었다고 한다.
오랜만에 연필을 들고 공부하듯 읽었다.
그래도 쉽지는 않았다.
책은 인류학의 역사를 주요 인물들을 따라가며 배우게 해준다.
인류학이란 무엇일까.
백과사전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생물로서의 인류와 그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그 말에는 너무나 많은 개념들이 속해 있기 때문에 그 영역은 너무 넓고 내용 또한 매우 방대하다.
그래서 이 책 하나를 읽었다고 나의 지식이 사실 별로 달라진 것은 없다.
그래도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매김하고 또 다른 영역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세월과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더 선명히 알 것 같다.
내용은 인류학의 시초인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학의 발달 과정을 간결하게 정리해준다.
인류학의 창시자들인 에드워즈 타일러, 루이스 모건, 프란츠 보아스, 에밀 뒤르켐에서부터 시작하여 문화 인류학과 사회 인류학을 거쳐 유물론적 인류학과 포스트모더니즘적 인류학에 이르기까지 21명의 인물들을 소개한다.
그들의 사상과 주장만이 아니라 그들의 삶과 이론적 배경들, 전체적인 평가를 간략하게 설명해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모든 내용을 객관적인 사실들과 시선으로 전달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깊다.
저자의 생각과 주장보다는 인류학의 전 역사가 어떻게 발생되고 전개되며 발전과 소멸을 하게 되었는지 담담하게 전해준다.
책을 읽다 보면 어떤 부분은 읽어서 이해나 공감이 되기도 하고 또 어떤 부분은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은 욕구가 일어나기도 한다.
대학생이 된 것처럼 강의실에 앉아 책 속 인물들의 뜨거운 수업을 듣고 싶은 갈망이 불끈 솟아오르기도 했다.
맨 마지막 말이 마음에 가장 많이 남는다.
"인류학이 논쟁을 만들어내는 이유는 우리 자신이 연구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신에 대한 변화와 자성이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인간이기에 인류학은 어느 한 곳에 머물 수도 없고, 계속 걸어가고 논쟁을 할 수밖에 없으리라.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문화들에 대한 이해와 궁금증이 아주 조금은 해소되어 즐거웠던 책.
공부는 지금부터다.

#인류학의거장들 #제리무어 #한길사 #인물로읽는인류학의역사와이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