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는 고양이 기분을 몰라 - 어느 심리학자의 물렁한 삶에 찾아온 작고 따스하고 산뜻한 골칫거리
닐스 우덴베리 지음, 신견식 옮김 / 샘터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박사는 고양이 기분을 몰라 >
- 닐스 우덴베리 / 샘터 -

 


난 동물과는 아직도 친해지지 못 한 사람이다.
어릴 적 우리집에서는 강아지들부터 다 자란 개에 이르기까지 꽤 여러 번 동거를 하였지만 익숙해지지는 않았다.
아주 어릴 때에는 집에서 기르던 강아지를 발로 차서 물리는 등 개에게 당하는 사건들이 여러 번 일어났기 때문에 더더욱 멀어졌다.
결혼 후에는 아이들의 집요한 부탁을 받으며 꼭 굳이 동물과 같이 살아야 한다면 그나마 애증의 관계인 강아지일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했다.
개도 안 된다.
힘이 없는 강아지일 때부터 봐서 익숙해져야 한다.
그렇게 동물은 내게 두렵고 무서운 존재였다.
그런데 요즘 자꾸 고양이가 눈에 들어왔다.
이유는 단순한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강아지는 사람을 너무 좋아하고 따라다녀서 신경이 많이 쓰이지만 고양이는 무심한 듯 다닐 것 같다는 상상에서였다.
그 상상은 내게 자꾸 부드러운 유혹을 보내고 강아지보다는 고양이를 키워보고 싶다는 욕심이 아주 조금씩 자라고 있던 차였다.

그런 때에 만난 이 책은 마치 고양이를 키우면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내게 알려주려고 다가온 것 같았다.
70이 넘은 스웨덴의 신경의학과 노 학자의 가정에 들고양이 한 마리가 눈에 띄었고, 한 걸음씩 천천히 다가서는 고양이 걸음처럼 서로를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어찌보면 글의 전개도 그 걸음을 닮았다.
어떤 결정적이거나 화려한 사건이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고양이와 적응하고 친밀해지는 일상을 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기엔 또 다른 즐거움이 숨어 있다.
'사람이 고양이의 입장을 상상하기'가 바로 그것인데, 그 일은 고양이의 말을 들어보지 않는 한 증명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양이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으니 이렇게 저렇게 상상하고 결론을 내려도 그것은 인간의 이해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다.
그러기 때문에 사람과 고양이는 상하 혹은 주종의 관계가 되지 않고 독립적인 관계를 지속할 수 있다.
어쩌면 내가 고양이에게 끌렸던 점이 바로 이것이었던 것 같다.
키워보진 않았지만 개가 충직함의 대명사라면 고양이는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라는 생각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의 바람이나 상상을 만족시키듯 저자는 그 사실을 조곤조곤 풀어나간다.
사람에게 속해서 사람을 즐겁게 하기 위한 관계가 아니라는 것, 서로 이해하고 있어서 즐거운 것이 아니라 함께 있다는 것으로 충분히 서로에게 존재의 의미가 있다는 것.
까칠하고 자기중심적인 것들의 대명사 같던 고양이가 사실은 인간 관계에서의 대등함과 개별적인 고유함을 인정하는 것의 대표 주자는 아닐까.
그래서 난 이제야 그 진면을 발견하고 그들에게 끌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책을 읽으며 그런 생각이 들어 혼자 실실 웃었다.
박사는 고양이 기분을 모를 수밖에 없다.
그는 고양이가 아니니까.
고양이가 박사의 애틋하기까지 한 사랑과 애정을 다 몰라주듯.
그래도 그 둘은 서로를 인정하고 함께 있음에 즐겁다.
갑자기 나도 새끼 고양이 한 마리와 즐거운 관계를 시작해보고 싶은 충동이 인다.
물론....쥐를 물고 와서 자랑하는 일을 보는 것만은 피하고 싶다..흐흐^^

---------- **----------

- 가까이서 일어나는 일에는 마음이 움직이면서도 멀리 떨어진 곳의 일은 그게 좋든 나쁘든 쉽게 눈을 감아버린다.(p41)
- 고양이의 골골송(p52)
- 고양이는 멋대로 행동하면서도 일관성이 있으며 자유로이 선택한다.(p72)
- 인간은 비참하게 태어나서는 거만한 상상 속에서 스스로를 신과 똑같은 자리에 올린다. 그리고 똑같이 자만하는 태도로 다른 살아 있는 생명체들에게 알맞다고 여기는 능력과 힘을 부여한다.(p82)
- 우리는 둘 다 각자 성향의 포로이며 바로 이러한 이유로 관계라는 형태를 만들게 되었는지도 모른다.(p85)
- 인간 공동체도 같은 조건에서 생긴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두 사람은 서로 이해한다고 여기지만 사실은 각기 전혀 다른 행성에 살고 있다. 그래도 최소한 얼마 동안은 잘 지낼 수 있다.(p86)
- 나비가 아침에 드러내는 다정함과 애정은 아마도 소유물을 관리하는 방식인지도 모른다.(p114)
- 이제 우리가 '고양이 집사'가 되었으니 나비가 때로는 포식자의 본능을 해소해야 한다는 점을 우아하게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 게다가 사회적 관계라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p131)
- 정신과 의사였던 나는 어린 시절에 어땠느냐가 나중에 어떤 사람이 되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자신한다. 이런 원칙들이 고양이에게도 적용이 되는지는 모르지만 그럴 수 있다고 믿고 싶다.(p136)
- 대부분 영장류는 집단을 이루고 인간은 그중에서도 가장 사회적이다. 우리의 사고 과정은 다른 사람들이 뭘 원할지를 계속 파악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집단 속에서 진화했다.(p142)
- 애완동물을 기른다는 생각 자체가 정말로 의인화 아니던가?(p148)
- 인간은 언어로 서로를 어루만진다.(p148)
- 그럼에도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우리의 관계는 상당한 오해를 기초로 한다고 생각한다.(p155)
- 고양이는 개와 달리 독립의 완벽한 상징이다.(p158)
- 현대인은 스스로를 집단의 구성원보다는 어딘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개인으로 보려고 한다. 그래서 고양이와 쉽게 동일시한다.(p168)
- 고양이가 우리를 골랐지 우리가 고양이를 고른 게 아니다.(p168)
- 주목할 점은 고양이가 삶의 대부분을 잠으로 보내버린다는 것이 아니고 어째서 사람은 그러지 않느냐는 것이다.(p172)
- 고양이는 본질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질적 차이도 잘 느낀다.(p176)
- 사람 환경 고양이를 모두 염두에 두고 사회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p190)
- 우리와 나비는 서로서로 삶의 일부가 되었다. 서로를 이해해서라기보다는 함께 하는 시간을 즐기기 때문이다.(p1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