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컬처 - 복음과 문화가 충돌할 때
데이비드 플랫 지음, 최종훈 옮김 / 두란노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운터 컬처 >

-데이비드 플랫 / 두란노

"복음을 품은 채 침묵하지 말라"

오늘날의 기독교는 사실 그 색깔이 많이 퇴색되었다.
존재 가치를 자신 스스로에게서 끌어 올리는 것보다는 세상의 잣대로 웃고 우는 시대이다.
하나님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민하기보다는 사람들의 눈을 어떻게 만족시킬까를 더 고민한다.
나 또한 다르지 않다.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말이 식상하게 들릴까봐 이모저모 나의 모습을 합리화시키며 살 때가 많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다시 복음을 재조명하며, 복음을 품은 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말해준다.
역시 복음은 원초적이며 강렬할 수밖에 없다.
그는 복음이 문화와 충돌할 수밖에 없음을 이야기하는데, 여기에는 복음과 문화의 개념이 더 명확할 필요가 있다.
복음은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를 인정하며 그가 계획한 인간 구원의 역사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에 반해 문화는 하나님의 자리에 인간의 자유와 의지를 앉혀 놓는 일이다.
그러니 복음과 문화는 충돌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결혼에 관한 개념도 다르다.
복음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결혼은 인간인 두 남녀의 결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
하나님의 인간 구원 계획을 결혼이라는 것을 통해 인간을 창조하신 그 때부터 이미 설계하시고 보여주시기 위한 모델이다.
남자와 여자의 밀당을 통해 어느 쪽이 우위를 차지하며 자신을 만족시킬 것인가에 있지 않다.
남자는 그리스도가 인간을 위해 죽기까지 사랑하듯 여자를 사랑하라고 하신다.
여자는 교회가 그리스도에게 하듯 남자에게 복종하라고 하신다.
결혼을 통한 만족과 성취가 목적이 아니라, 사방에서 지켜보는 세상의 눈앞에 그리스도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것이 하나님이 결혼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다.

저자는 이러한 복음과 문화와의 충돌을 여러 부분에서 살펴본다.
우리의 곁에 있는 가난, 낙태, 고아와 과부, 성 착취 등의 고통에 눈을 뜨기를 원한다.
그 고통 속에 있는 이웃들의 눈물을 볼 수 있기를 원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복음과 충돌하는 여러 가치들, 예를 들어 결혼이나 성윤리, 인종 문제나 신앙의 자유 등의 충돌 속에서 복음을 사수하기를 요구한다.
인간은 어느 누구도 누군가의 압제 밑에서 살아가도록 창조된 이는 없다.
그러기에 복음이라는 빛을 통과하여 바라보는 세상은 우리가 침묵하여야 할 마당이 아니다.
복음에 비추어 내가 쏟아내야 할 자리가 분명하다면 기도하고 참여하며 선포하기를 원하신다.

이 책은 상당히 강렬하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복음 자체가 강렬하다.
세상을 하나님이 창조하셨다는 것, 창세기 1장 1절부터 강렬한 것이 성경이다.
우스갯소리로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성경 첫 머리와, 세상 끝 날에 다시 오겠다는 성경의 마지막 구절을 믿는다면 이미 그는 신자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복음은,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친히 인간이 되어 자신을 죽음으로 몰아넣어서까지 사랑하신다는 이 강렬함을 제거하면 복음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의 교회와 믿는다고 따르는 우리 크리스천들은 이 원초적인 강렬함을 많이 잃어버렸다.
그래서 이 책이 더 강렬하게 다가오고 찔리는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모든 자리에 우리가 부름을 받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느 한 자리에 우리는 분명한 부름을 받았으며, 그 자리를 위해 기도하고 참여하며 선포하는 일은 우리의 삶을 통해 꼭 이루어야 할 일일 것이다.
'지금도 이 책을 읽으며 거룩한 고민을 하는 이 시간에도 세상의 어딘가에서는 고통으로 쓰러지고 죽어가는 사람이 많다'는 저자의 말이 나를 다시 흔든다.
잠들어 있던 내 영혼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그 분을 향한 내 발걸음은 어디로 향하여야 하며 어디에서 멈출 것인가 고민하게 한다.
올해 읽은 기독교 서적 중에서 가장 흥미롭고 찔리며 읽었던 책.
"강추".

"창조주는 인간을 설계하시면서 주님을 으뜸자리에, 이웃을 버금자리에, 그리고 자신을 그 마지막 자리에 두게 하셨다.
하지만 죄는 그 순서를 뒤바꿔 버린다."(p28)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죄의 실체를 어찌해 볼 도리가 없으며 그래서 반드시 예수가 필요하다. 복음이 한층 공격적으로 문화와 맞서는 지점이 바로 이 대목이다."(p30)

"하나님께 이르는 길이 얼마나 많으냐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드러내는 자주성이 문제의 핵심이다. 스스로에게 눈을 돌려 하나님의 방법을 첫손에 꼽아야 비로소 구원을 얻을 수 있다."(p36)

"예수님의 말씀을 무시하거나 가감하거나 믿지 않으면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길은 어디에도 없다."(p40)

★"교회가 대단히 강력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당시 크리스천들은 스스로 믿는 바를 위해 고난 당하는 걸 귀하게 여기고 기뻐했습니다.
그 무렵의 교회는 그저 여론의 각광을 받는 사상이나 원칙을 그대로 보여주는 온도계가 아니라 사회의 관습을 바꾸는 온도조절장치였습니다."(p254) -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 중에서

#카운터컬처 #래디컬 #두란노 #데이비드플랫 #동성애 #문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